아구아 비바 암실문고
클라리시 리스펙토르 지음, 민승남 옮김 / 을유문화사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뼈대도, 전개도, 결론도 없는, 소설의 틀을 완전히 부수어 버린 작품이지만: 읽기 어려운 작품은 아니다. '소설을 틀을 부수어 버린'이라는 소개는 흥미를 불러일으키지만 하나도 이해하지 못할지도 모른다는 걱정도 흥미만큼 들게 하는 말이다. 하지만 단언컨대 이 소설은 어렵지 않다. 오히려 쉬운 소설이다. 왜냐하면,


내가 하는 말은 피상적으로 들으라: 그러니, 읽으라, 내가 지어낸 이야기는 졸졸 흐르는 음절 이상의 의미를 갖지 않은 순수한 진동이다: 어떤 글이 어렵다고 느껴질 때는, 글 자체가 어렵게 쓰여있거나 글에 내포된 것으로 추정되는 의미를 내가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고 느낄 때이다. <아구아 비바>의 글은 쉽다. 에세이같이 편안한 문체이다. 그리고 작가가 직접 조언한다. 읽고, 듣고, 감상하라고. 내포된 의미는 없으니, 당신도 그저 보기만 하라고.


당신이 내 그림에서 명확성 대신에 두서없는 말들을 수확해가기 때문이다: 그렇다. 이 소설은 피상적으로 보기만 해도 마음에 쏙 드는 문장이 수없이 많다. 내가 왜 이 문장이 마음에 들지? 작가는 이 문장으로 무슨 말을 하려고 하지? 같은 생각은 필요 없다. 그저 보았고, 마음에 들었으면 그뿐이다.

읽는 법을 알려주는 친절한 이 소설은 배려를 멈추지 않는다. 중간중간 등장하는 '당신' 이라는 표현 덕분에 나는 작가의 중얼거림을 듣고 있음을, 작가의 일기장을 훔쳐보는 것이 아니라 작가가 '나'에게 글을 쓰고 있음을 느끼며 소설과 연결돼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아, 그 모든 것에도 불구하고-내가 말로 붙잡지 않으면 그냥 지나가 버릴 이 지금-순간에 기뻐한다: 그렇다면 이 책에 있는 글은 어떻게 '생겼는가?' 소설은 '언제나 언제나 미래인 현재를 창조'한다. 처음부터 끝까지, 작가는 '현재'를 찬양하고 현재 이 글을 읽는 나는 그 현재에 동화된다.


그것은 순수한 요소다. 순간이라는 시간의 재료: 그것이 무엇인지 끝내 알려주지 않을 것 같아 나만의 정의를 바꿔가며 소설을 읽었는데, 전개도 결론도 없는 소설이라는 설명이 무색하게 나는 그것의 정체가 드러나는 부분을 결말이라 느꼈다. 비어있으면서도 충만한 생각의 상태.


내가 살고 있는 낮의 강철 같은 빛 때문에 슬퍼졌다: 하지만 '나'는 끝없이 현재에 머무르려 하는 이 소설 덕분에 따뜻해졌다. 작가를 슬프게 만드는 빛은 나를 행복하게 만든다. 따뜻한 빛이 여러 겹 쌓인 듯한 표지 안에 들어있는 친절하고 종종 아름다운 현재의 글 덕분에 나는 기뻐한다.


"본 게시물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