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문 넘어 도망친 엄마 - 요양원을 탈출한 엄마와 K-장녀의 우당탕 간병 분투기
유미 지음 / 샘터사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샘터 출판사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창문 넘어 도망친 엄마>의 저자는 유미 작가예요. 유미 작가는 책 만드는 일을 하는 사람이에요. 자유로우면서도 안정된 삶, 남들과는 다르게 살지만 남들만큼은 살아야한다는 모순적인 인생 목표를 성취하려 노력하고 있어요. 유방암, 신우암, 폐암에 걸리셨어도 씩씩하셨던 엄마가 뇌종양 판정을 받은 뒤 치료와 요양 과정을 함께 겪으며 느낀 점을 글로 담았고, EBS 다큐프라임 '내 마지막 집은 어디인가'의 '죽는 것보다 늙는 게 두려운' 편에 소개되었어요.

<창문 넘어 도망친 엄마>라는 제목만 보고 왜 도망가셨을까 하는 궁금증이 들어서 책을 집어들게 되었어요. 표지를 보니 어머니를 간병하는 장녀의 이야기더라구요. 저희 부모님은 건강하시지만, 저도 장녀라서 공감가는 면이 많을 것 같아서 읽어보게 되었어요.



<창문 넘어 도망친 엄마>에 나오는 어머니가 여러 번의 암과 재발을 거치시는 동안에 정정하셨는데, 뇌에 생긴 암 때문에 정신이 온전치 못하게 되시면서 혼자 일상을 지내실 수 없게 되셨어요. 그래서 입원도 하시고, 요양원에도 들어가게 되는데 요양원이나 병원에서는 자꾸 답답하다고 집에 가고 싶다고 하시는 부분이 있어요. 집에 가고 싶다는 마음은 어릴 때나 나이들어서나 마찬가지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아프신 노인분들이 집에 가고 싶은 마음이 얼마나 크실까 하는 생각도 들었구요.


요양원이나 요양병원 등에 계신 분들은 그 곳에서 돌아가시는 경우가 많다고 해요. 집에 가고 싶다는 마음이 항상 있지만, 집에 혼자 계시면 생활이 안 되시기 때문에 집에 가실 수 없는 상황이죠. 이런 상황에서 자녀들은 부모를 제대로 모실 수 없다는 생각과 부모님께 잘 해드리고 싶은데 못 한다는 죄책감도 들고, 그리고 현실적인 어려움 때문에 그런 건데 더이상 어떻게 하면 좋을지 스트레스를 받게 되는 것 같아요. 이 책을 읽으면서 느낀 게 정말 우리 나라는 노후에 대한 대비가 안 되있구나 하는 점이에요. 노환과 병환은 모두가 한 번쯤은 겪게 되는 일인데, 아직은 젊으니까 지금은 안 아프니까 하면서 미루다가 나중에 겪게 되는 현실은 참 차갑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요양병원이 정말 먼 이야기같고 남 이야기 같지만 금방 나에게, 혹은 나의 가족에게 다가올 이야기라고 생각하면 참 속상하죠. 노환과 병환을 겪고 싶지는 않지만 어쩔 수 없이 시간이 지나면서 나나 나의 가족이 겪게 되는 일일텐데 이런 경우는 아무리 잘 대비해도 정말 힘든 것 같아요. 집안에 아픈 사람이 있으면 온 집안의 일상이 정지되게 되는데, 이럴 때 어떻게 해야 좋을지 한 번 생각해보게 해주는 책이에요.


엄마의 간병을 하면서 느낀 점을 적은 책이에요. 나이가 들어가면서 지인들 중에 부모님이 아파서 간병을 하시는 분들이 생기고 있는데 그 분들이 겪었을 심정을 간접적으로나마 알 수 있었어요. 우리 부모님이 아파지시면 어떡하나 하는 생각도 들고 늙음과 죽음에 대해서도 생각하게 되는 책이네요. 마지막에 유미 작가의 어머님은 집으로 돌아가시면서 건강도 회복하시는데 참 잘됐다는 생각을 했어요. 이 책의 작가가 제가 부모님 간병은 아니지만 아이 아플 때 대학병원 다니면서 느꼈던 점들과 비슷한 점을 느꼈다는 게 사람 사는 게 참 비슷하구나 싶더라구요.

좋은 죽음에 대해서 고민해보고 싶으신 분들, 노환과 병환의 실상에 대해서 알고 싶으신 분들, 좋은 삶에 대해서 생각해보고 싶으신 분들이 읽어보면 좋을 책이에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