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부의 시대 세트 - 전5권 ㅣ 공부의 시대
강만길 외 지음 / 창비 / 2016년 7월
평점 :
품절
이책은 지식인들에게 질문과 그에 대한 의견을 얻는 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어찌보면 세상의 모든 공부의 이치가 질문과 그에 대한 답을 구하기 위한 노력으로 점철되어 있다는 생각도 든다.
지식인의 답을 통해 나를 중심으로 새로운 질문이 형성되고, 나만의 답을 찾아가는 과정 그 자체가 공부라는 것을 책을 읽으면서 다시한번 느꼈다.
강만길의 내 인생의 역사 공부에서는 나의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은 무엇일까, 또 그 나의 업으로 꿈꾸는 이상향은 무엇인지, 그리고 나만이 해석할 수 있는 업에 대한 전문성은 무엇일지 글을 통해 자문해볼 수 있었다. 반복되는 업무의 일상을 계속 접하다보면 닳고 닳기 나름이어서 소명의식과 이상향에 대한 생각은 약해지기 나름이다. 그럴수록 현실과 단기적 성취에 안주하지 않고 장기적인 개인의 가치에 대한 형상화와 그것을 이루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했다
김영란의 책 읽기의 쓸모에서는 책읽기에 대한 다양한 방법론이 소개된다. 책을 통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서 읽기, 책내용을 까먹지 않게 메모하고 익히기, 천천히 반복해서 읽기, 일정한 기간 주제를 정해서 읽기.. 일부는 나도 시도해본 경험이 있고 읽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행동방침으로 이어지거나, 곱씹어 읽기의 중요성은 나도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이라 많은 부분 공감하며 읽게 되었다.
유시민의 공감필법은 유시민만의 사는 방식에 대한 생각을 알 수 있어서 좋았다. 사는데 정답이 없다는 솔직한 답변 또한. 중요한 결정을 할때마다 모든 경우의 수가 있지만 one gain, one lose 모든 것을 다 이루는 선택은 없다. 다만 우선순위를 무엇으로 하느냐에 따라 다른 버려진 선택에 대한 아쉬움을 최소화 하는 수 밖에. 미래를 고민하는 시작점에서 어떤 가치를 중요시해야 하는지 고민해본다.
정혜신의 사람공부에서는 전문가가 필요없고 나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방식을 언급한다는 점이 흥미로웠다. 사실 나는 내 자신이 제일 잘 알지 아니한가.
진중권의 테크노 인문학의 구상은 기술과 인문학에 대한 내용들인데 다른 섹션에 비해서 형이상학적인 얘기가 많이 나온다는 생각이 들었다. 기술을 통해 인문학과 사회학을 다시 재조명해보는 글들이다. 기술이 진보될 수록, 나는 어떤 준비를 하고 나와 연계된 학문은 어떤 형식으로 발전하게 될지 상상해본다.
공부의 시대에 나오는 몇몇 단편만 읽었을 뿐인데도 굉장히 좋은 기획으로 알차게 책이 구성되었다는 느낌을 받았다. 정식 발매가 무척 기대되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