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디딤돌 독해력 수능독해 1 (예비고~고등) (2023년) - 글쓴이를 넘어 출제자를 예측하는 실전대비 독해 학습 ㅣ 디딤돌 독해력 수능독해 (2023년) 1
나태영 외 지음 / 디딤돌 / 2023년 1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403/pimg_7444691503808056.jpg)
수능까지 연결되는 디딤돌 독해력 초등국어 에서 디딤돌독해력 고학년
생각읽기가 독해다 생각독해에 이어 생각, 예측이되다 수능독해가 출간되었네요
수능국어에서 가장 중요한 " 글쓴이의 생각을 읽고 출제자를 예측하는것 "
글의 구조를 파악해서 글쓴이의 생각을 읽어내고 이 과정에서 출제자의 의도를 예측해내야
수능국어를 제대로 대비할수잇는거지요
그런 독해방법을 익히기위해 인문, 건축, 예술, 서양철학, 수학, 문학 과학 , 환경 8개의 분야의
기출글들을 읽어내려가면서 그 이슈들속의 글쓴이의 생각을 읽고 출제자의 의도를 읽어나가는 연습을 해나가도록
구성되어잇네요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403/pimg_7444691503808058.png)
2014학년도 6월 고2 학력평가 B형의 기출인 기억의 유형과 형성과정의 글을 먼저 만나볼수잇었답니다
풀어오던것처럼 문단문단 주요내용들을 체크하면서 문제를 풀어나가고 정답과 해설을 보면서
지문에 대한 설명과 정답과 오답에 대한 설명을 읽어내려가면서
왜 정답인지 왜 오답인지 다시한번 제대로 짚어나가보아요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403/pimg_7444691503808059.pn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403/pimg_7444691503808060.jpg)
그렇게 풀고보니 수능독해에는 출제자는 무엇을 물을까 부분과
글쓴이의 작문과정를 따라가볼까? 부분이 각 글마다 보이더라구요
출제자가 왜 이글을 가져왓을지를 예측해보고
글쓴이는 이글을 어떻게 썼을까 생각하면서
그 작문과정을 따라가면서 글쓴이가 말하고자하는 주제를 찾아낼수잇도록 연습할수잇는 부분들을 잘챙겨주었네요
실전문제마다 어떤 유형의문제이고 이런 유형의 문제들은 어떻게 풀어나가면좋을지도 잘 짚어주고잇으니
문제를 풀면서 이런 작은 부분 하나하나도 놓치지않고 공부해나가면 좋을것같아요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403/pimg_7444691503808061.png)
수능국어
사실 공부해야할 범위를 무엇이라고 규정할수없을만큼 정해진게 없는 공부이기도 하지요
그러니 무엇보다도 글을 읽으면서 이글을 왜 썼는지. 어떤 주제를 가지는지, 어떤 의도를 가지고잇을지를
생각해나가면서 생각을 예측하는 연습을 해나가는것이 수능국어 공부의 가장 근간이될것같기도하더라구요
디딤돌 독해력과 생각독해로 생각하는 힘을 길러왓다면
그 생각하는 힘으로 글쓴이의 생각을 예측해나가는 한걸음 더 나아가는 생각하는 힘을 길러갈수잇게 도와주는
디딤돌 독해력 수능독해
차근차근 한장한장 공부하면서 예측하는 힘을 길러나가보도록 하겠습니다
#디딤돌 . #디딤돌독해력수능독해, #생각예측이되다, #수능독해문제집, #수능기출이슈읽기,# 출제자의의도읽기
#디딤돌 . #디딤돌독해력수능독해, #생각예측이되다, #수능독해문제집, #수능기출이슈읽기,# 출제자의의도읽기
#디딤돌 . #디딤돌독해력수능독해, #생각예측이되다, #수능독해문제집, #수능기출이슈읽기,# 출제자의의도읽기
<출판사로부터 교재를 제공받아 개인적으로 작성한 후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