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학생의 세계 - 가끔은 발칙한,
이금주 지음 / 프리즘(스노우폭스북스) / 2023년 10월
평점 :

알다가도 모르는 사춘기 중등 아이들.
하루는 기분 좋게 조잘조잘 수다쟁이가 되고,
다음날은 예민하여 신경질 가득한 사춘기 아이들을 보고 있으면
얘는 왜 이리 하루에도 감정이 오락가락하는지 답답하기만 하지요.
'중학생의 세계'를 쓴 이금주 작가님은
사춘기 중학생과 20년째 함께 하고 있는 중학교 교사라고해요.
그러기에 책 안에는
선생님이 바라보는 아이들의 학교에서의 모습
엄마들은 알지 못하는 사춘기 아이들이 특징들을
왜 이렇게 행동하는지 공감할 수 있는 내용이 가득 담겨 있었답니다.

중학생은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고민을 하지요.
친구들과 놀고, 게임만 하고 다니는 것처럼 보이지만
아이들은 항상 자신의 정체성을 찾고자 고민한다고 해요.
'중학생의 세계'의 아이의 모습은
마치 우리 집 아이의 하루를 살펴보는 듯한 기분이 들었답니다.
중학교에서는 수업마다 프린트가 많아
각 과목별로 몇 십장의 프린트를 받고 나면
추가 자료를 받을 때마다 스테이플러로 모아두고 챙기느라 정신없지요.
책에도 수업 프린트에 대한 재미있는 에피소드가 실려 있었답니다.
우리 아이도 학교 입학하며 노트를 여러 권 사두었는데
학교에서는 프린트를 사용하기에 노트가 특별히 필요가 없어서
집에서 복습노트로만 활용하고 있거든요.
우리 아이뿐만이 아니라 다른 친구들의 모습도 비슷하게 생활하는 듯하여
웃음이 나기도 했답니다.
누구나 인싸가 되고 싶지요.
중학생 아이들은 어떤 친구들이 좋은 사람이고
옳은 행동을 하는지 다 알고 있다고 해요.
학교에서 인싸는 적극적이고 활발한 친구일 것 같지만
내성적이고 긍정적인 친구들도 많다고 해요.
친구들 사이에서 인싸가 되기 위해서는
공부 잘하는 것이나 운동을 잘하는 것보다
'누가 봐도 괜찮은 좋은 사람', 됨됨이를 챙겨야 하는 것도 꼭 기억해야겠어요.


많은 학습과 학원 등으로 정해진 공부를 소진하면서
번아웃을 앓고 있는 아이들.
에너지가 이미 한계에 도달한 아이들은 번아웃을 겪으며
게임이나 외모 가꾸기에 빠지는 등 방황의 시간을 보내기도 한다고 해요.
진짜 공부해야 할 때 스스로 공부할 수 있는 힘을 기르기 위해
노력이 주는 즐거움, 휴식의 즐거움, 배움의 즐거움까지
앞을 보고 달리면서도 항상 주위를 둘러보는 여유의 시간도 함께 갖도록 해야겠답니다.
"선생님들이 바라보는 학교에서 중학생 아이들은 어떤 모습일까?"
아이들은 엄마가 아는 모습과 학교에서의 모습이 다르기 마련이지요.
선생님의 시각에서 아이들의 생활을 엿볼 수 있었던 '중학생의 세계'는
요즘 우리 아이의 모습에 "대체 왜 그러는지" 고민했던 부분이
지극히 평범한 것이구나~ 싶은 마음이 들기도 했던 책이랍니다.
아이가 진로와 학업, 친구관계에 대해 고민이 많아지면서
신경질 부리는 시간이 많아져 엄마와 다툼이 생기기도 했는데
책을 읽으며 그런 행동 또한 성장하는 아이들의 과정이라 가볍게 웃으며
읽어볼 수 있었답니다.
중등을 앞둔 부모님들이 꼭 읽어보면 공감할 내용이 가득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