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선생의 시끌벅적 과학교실 22 : 빛 - 거울로 라면을 끓이는 방법은? 용선생의 시끌벅적 과학교실 22
김지현.사회평론 과학교육연구소 지음, 김인하 외 그림, 강남화 감수, 이우일 캐릭터 / 사회평론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학을 재미있게 배울 수 있는 학습만화!

바로 '용선생의 시끌벅적 과학교실'은 교과에서 배우는 과학의 재미있는 사실을

아이들이 좋아하는 만화 형태의 글로 쉽게 읽어나갈 수 있답니다.

과학을 배우기 시작하는 3학년.

'용선생의 시끌벅적 과학교실'의 책들을 읽다 보니 집에 없는 책의 내용도 궁금해 질만큼

과학적 개념과 실험, 사진 등의 내용이 마음에 쏙 들더라고요.

 

 

빛은 직진하는 성질이 있어서 광원에서 나온 빛이 물체에 막혀 통과하지 못하면

물체 뒤쪽에 그림자가 생긴다고 해요.

투명한 물체는 빛이 대부분 통과하여 연한 그림자가 생기고,

불투명한 물체는 빛이 통과하지 못해 진한 그림자가 생긴답니다.

또한 투명하지도, 불투명하지도 않는 물체를 반투명이라고 해요.


 

 

그림자 모양은 빛이 직진하기 때문에 물체 모양과 비슷하지요.

하지만 광원의 방향과 물체가 놓인 모습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답니다.

손전등이 물체에서 멀어지면 그림자가 작아지고,

물체가 손전등에서 멀어지면 그림자가 작아지는 것은 교과서에서도 실험으로 배우는 내용인데

책 안에 실려 있어서 더욱 자세히 알아볼 수 있더라고요.

아이들이 어렵게 느끼는 과학도 용선생의 설명과 함께 읽으니 더욱 흥미롭네요.


 

 

또한 공기 중에 있는 작은 물방울이 프리즘 역할을 해서

폭포 주변에서는 무지개를 볼 수 있지요.

서로 다른 색의 빛이 섞여서 다른 색이 되는 빛의 합성에 대한 내용과 함께

빛의 삼원색, 물감의 삼원색 등 다양한 내용도 읽어볼 수 있었답니다.

'용선생의 시끌벅적 과학교실' 은

초, 중등 과학에서 배우는 내용을 주제를 중심으로 자세히 읽어볼 수 있는데

아이들이 과학시간에 배우는 내용과 일상생활을 연계한 다양한 사실들도 함께 할 수 있어서

지식의 폭을 넓혀주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