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밀라의 눈에 대한 감각
페터 회 지음, 박현주 옮김 / 마음산책 / 200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몇 쪽 읽다가 덮어놓았던 책을 다시 펼친 건, 정신을 다른 곳으로 분산시키기 위해서였다. 재미있는 이야기에 몰두하면 잠을 잘 수도 없이 쑤시는 다리에 대해 잊을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었다.

하지만 몇 줄 읽고 바로 그건 무리한 기대라는 걸 알 수 있었다. 애초에 추리소설을 몰아읽을 때 사놓고 이 책만 따로 묵혀둔 이유가 무엇이었던가. 이건 쉽게 술술 읽히는 소설이 아니었고, 내 분류 기준에 따르자면 장르 소설이 아닐지도 몰랐다.

SF, 팬터지, 동화, 로맨스, 무협, 추리, 스릴러, 역사... 꽤나 세세하게 구분하는 것 같지만 사실 나에게 소설을 비롯한 여러 매체는 두 부류로만 나뉜다. 신경을 당겨서 읽는 책, 느슨하게 읽는 책. 에너지를 들여야 하는 작품,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작품. 특별히 어느 쪽이 재미있다 없다도 아니고 가치있다 없다도 아니고, 그저 충분한 에너지가 없을 때는 볼 수 없는 소설/영화/기타 등등이 있고 그럴 때 오히려 충전지가 되는 소설/영화/기타 등등이 있을 뿐이다. 그리고 장르 소설은 많은 경우 후자에 속한다. 그런 의미에서, '스밀라...'는 장르 소설이 아닐지도 몰랐다.

쓸데없이 길게 설명했지만 결국은 이 책이 에너지를 들여야 하는 소설이었다는 얘기다.

하필이면 정신을 집중해서 뭔가 하는 것이 무리인 상태에 이런 책을 잡다니, 좋은 선택은 아니었다. 어쨌든 나는 이틀에 걸쳐서 느릿느릿 스밀라를 따라갔다. 확실히 그 정도 매력은 있었다. 하지만 책을 덮고 나서 걸작이라거나 너무 재미있었다는 말이 나오지는 않았다. 어쩐지 한 번 더 읽어봐야 정체를 파악할 수 있을 것 같은 느낌. 딱 잘라서 '이러이러했어'라고 말하기엔 망설여지는 찜찜한 기분. 그러나 여전히 읽을 만했다고 고개를 끄덕이게 될 것 같은 상태.

단순한 감상은 적을 수 있다. 누구나 말하듯, 스밀라가 정말 매력적이었다는 이야기. 이건 사실 추리소설이 아니라는 이야기. 읽기 전에는 이게 이렇게 하드보일드인지, 이렇게 스케일이 큰지 몰랐다는 이야기. 빛나는 구절이 많았다는 이야기. 읽으면서 영 호흡이 맞지 않아 힘들었다는 이야기......결국 컨디션 문제가 겹쳐서 생긴 망설임일까? 아니, 아마 그렇지는 않을 것이다. 이 책의 호흡은 정말로 독특하다.

그놈의 찜찜한 기분을 해결해보려고 이렇게나 길게 내용없는 얘길 써봤지만, 여전히 해결은 안났다. 역시 한 번 더 읽어봐야 할 모양이다. 호흡을, 혹은 방식을 달리해서 읽어야 할 것 같기도 하다. 하지만 확실한 것은 하나 있다. 다시 읽어도 별 다섯 개를 매기진 못할 것이다. 그렇다고 별 셋은 도저히 줄 수 없을 것이다. 동기가 무엇이든 찬찬히 곰씹게 되는 소설이 그리 흔한 것은 아니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