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로몬왕의 반지 - 그레이트북스 2
콘라트 로렌츠 / 문장 / 1993년 5월
평점 :
품절


어린 시절 우리 또래는 몇 가지 책을 자주 권유받았다. 이순신이나 세종대왕의 위인전과, 파브르 곤충기, 시튼 동물기는 그 목록에서 빠지지 않는 책들이었다.

그런데 종종 함께 거론되던 파브르의 곤충기와 시튼의 동물기는 내게 전혀 다른 느낌으로 다가왔었다. 개인적 성향 탓에 시튼의 시각이 거슬린 탓도 있었겠지만, 파브르의 곤충기는 엄연히 객관적이고 대단한 노고를 요구하는 '관찰기록'이고, 시튼의 글은 기록이 아니라 소설이라는 느낌이 강했다. 솔직히 털어놓자면 사람들이 흔히 동물이나 원시인에 대해 투영하는 감상적인 시각을 답습한 미담일 뿐이라고까지 여겼었다.

그런 면에서 콘라드 로렌츠의 수필집, '솔로몬왕의 반지'는 파브르의 곤충기에 비교해서 전혀 손색이 없다. 즐거움과 경이로움을 갖고 읽을 수 있고, 재치있는 문장과 생각지 못한 사건들 너머에서 깊이있는 애정, 동물에 대해서뿐 아니라 인간에 대해 가진 저자의 깊은 애정을 느낄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노벨상을 받은 바 있는 생물학자인 저자는, 자신의 경험에서 우러난 일상적인 이야기들 속에서 사람들이 흔히 가지고 있는 편견을 무너뜨린다.

저자는 '솔로몬왕의 반지'에서 이렇게 말한다.

<솔로몬 왕은 짐승과 새와 물고기와 벌레와 이야기를 했다고 한다. 나도 역시 그렇게 할 수 있다. ...(중략)...모든 동물과 할 수 없다는 점에서 나는 솔로몬 왕보다 못하지만 그처럼 마법의 반지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에서는 그보다 낫다.
...(중략)...나 개인으로서는 동물과 사귀는 데에 마법의 반지를 사용했다는 것을 어쨌든 못마땅하게 생각한다. 살아있는 존재는 마술이나 요술 없이도 가장 아름다운 이야기, 즉 진실의 이야기를 들려줄 수 있기 때문이다. >

그의 애정, 그의 해박함과 재치, 그리고 그 참을성에 경의를 표하며 내가 어릴 적 느꼈던 그 경이로움에 다른 사람들을 초대하고 싶다. 특히 요새 너무나 많은 숙제와 입시의 무게에 찌들어있는 후배들에게, 어린시절에 읽어야 할 책이란 바로 이런 것, 참고서 100권보다 나은 양식이라 말해줄 수 있다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