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인희의 북유럽 신화 1 - 신들의 보물에서 반지전설까지, 시대를 초월한 상상력의 세계
안인희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화를 좋아한 지 꽤 오래 되었다. 그리스 로마 신화를 열심히 보다가 북유럽 신화에 눈을 돌렸던 것도 꽤 오래 전 일이다. 그러나 각종 2차 텍스트는 물론이고 원전도 다양하게 번역되어 있는 그리스 로마 신화와 달리 북유럽 신화 쪽에서는 이거다 싶은 책이 없었다. 이번에 한국 사람이 자기 해석을 더하여 정리한 책이 출간된 것을 알고 냉큼 집었다. 일단 책을 받은 순간의 느낌. 깔끔하고 삽화도 멋지게 집어넣어(아서 래컴 그림도 잔뜩!!) 손에 쥔 느낌이 뿌듯하다.  

그리고 재미있었다. 1, 2권으로 내용을 새로 정리한 방식도 새롭고 두 권 모두 술술 잘 읽힌다. 신선한 해석도 접할 수 있어서 좋았다. 부록으로 바그너의 '니벨룽의 반지' 줄거리를 정리해준 것도 가산점. 최근 들어서는 북유럽 신화 관련 책도 꽤 많이 나왔지만 이 책을 빼고는 모두 어린이용이거나(그나저나 어느새 만화로 보는 북유럽신화도 나와있네? 역시 아동서 쪽은...) 외국 저자의 번역서다. 어차피 원전을 읽지 않을 바에는 누가 쓴 책이라도 저자의 주관적인 해석과 시각이 들어갈 수밖에 없다. 그러니까 번역된 신화서는 원전이 두 번 번역을 거치는 셈이다. 그런 의미에서 한국인이 한국어로 쓴 신화책 출간은 언제나 환영할 일.  

즐겁고 재미있게 읽은 만큼 칭찬만 할 수 있으면 좋겠지만, 단점이 없지는 않다. 저자가 문학에서 출발하여 독일 문화와 신화-> 북유럽(게르만) 신화로 공부를 확대한 결과물이라(신화학 전반과 비교종교학에서 좁혀들어간 방향이 아니라) 그런 걸까... 그렇다고 공부의 깊이가 얕다는 느낌은 없으니 아마 시각이나 해석상의 차이가 아닐까 싶지만.   

예를 들어 1권에서 생명나무에 매달렸다가 되살아난 오딘을 이야기하면서 그리스도와의 유사성을 슬쩍 언급만 하고 넘어간 건 조금 무책임하지 않았나 생각한다. 이대로는 아무래도 오딘 신화가 그리스도교의 영향을 받은 것 같다는 암시밖에 안된다. 생명나무, 나무에 매달린 남자, 지혜를 얻기 위한 죽음-부활은 굉장히 오래된 신화 요소이고 모든 신비주의와 샤마니즘의 핵심 요소이기도 하다. 지금 이대로도 재미있는 이야기이긴 하지만 이런 연계를 짚어주어도 괜찮지 않았을까.

반지 모티프를 설명하면서 반지의 제왕과 스타워즈와 북유럽 신화의 유사성을 하필이면 '크게 두 그룹으로 나뉘어, 목숨을 걸고 마지막 순간까지 서로 다툼을 벌인다. 이 또한 신과 거인의 대립을 주요 줄거리로 삼는 북유럽 신화의 특징이다'라고 한 것도 마음에 걸린다. 유사성 자체는 인정하지만 하필 이유로 드는 성격이 저거라니? 그렇게 치면 인도 신화는 안 그런가? 봉신방은 안 그렇던가? 발더(발두르) 신이 '명부에서 살아 돌아온 신'이라는 점을 그리스도와 연관시키는 것에도 이의를 제기하고 싶다. 에다를 저술한 시인들이 기독교인들이었다는 사실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은 분명 있지만, 명부에서 살아돌아온 신이라는 요소를 이야기하자면 이쉬타르의 애인 이야기가 훨씬 윗길이다. 또한 기독교가 북유럽 신화에 미친 영향만이 아니라 북유럽 신화가 유럽 기독교(초창기 기독교와 동일한 형태가 아니므로)에 미쳤을 영향에 대해서도 이야기해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 등등...

그러나 이런 거야 어설프게 공부한 사람이 으레 내놓는 투덜거림일 터이고, 잘못된 내용에 대한 지적이라기보다는 토론으로 치자면 반론, 강의로 치자면 질문에 지나지 않는다. 사실 북유럽 신화에 대한 책에서 너무 비교신화나 신화학으로 확장하는 것도 안좋은 선택이었을 거라 생각하고 ^^;; 신화 전반에 이미 관심이 있던 독자에게도, 이제 막 신화의 재미를 알고 새로운 책을 찾는 독자에게도 권할 만한 책이었다. 문학적인 흥미만 있어도 만족하지 않을까?

덧. 인터넷에 신화를 독자적으로 공부하고 계신 헤르모트님의 번역으로 에다를 비롯한 게르만 신화 원전 영역본 번역판(http://cafe.naver.com/hermod.cafe)이 존재하니, 이 책을 먼저 읽고 더 찾아보고픈 마음이 생긴다면 가보는 것도 괜찮을 듯.

덧덧. 나중에 다른 리뷰들을 살펴보니 내 우려가 그냥 노파심이 아니었던 것 같아 안타깝다. 북유럽 신화가 그리스 로마 신화와 기독교의 영향 아래에 있다는 인상을 주는 것이 저자의 의도는 아니었을 테지만 결과는 그렇게 나온 면이 있으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