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권력은 간신을 원한다 - 한명회부터 이완용까지 그들이 허락된 이유
이성주 지음 / 추수밭(청림출판)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에 종영된 사극 드라마가 있다.

제목은 해치.

이 드라마는 영조가 왕이되는 과정을 그리는데,

사대부의 조선 답게, 여러 유형의 신하들이 등장한다.

왕과 죽음을 같이 하겠다는 충신에서 부터, 왕을 몰아내려는 간신(?)까지...

그런데 간신은 누가 정의하는 것일까?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라는 말이 있다.

그렇다면...

간신도 역사와 유사한 과정을 거쳐 이름 붙여지는 게 아닐까...

이런 내용의 책이 출간 됐다.

제목은

모든 권력은 간신을 원한다.

권력은 정치와 뗄레야 뗄 수 없는 단어다.

국가의 권력, 회사의 권력, 사회의 권력, 그리고 가정의 권력.

(가정의 권력은 좀 예외긴 하지만)

권력을 잡은 자는 권력을 유지 또는 강화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권력이 거품처럼 사라질테니.

이 때 필요한 사람들이 권력을 뒷 받침해 주고,

권력자를 대신해서 도움이 되는 뭔 가를 해 주고,

때에 따라선 사실 왜곡 및 조작도 하게 된다.

이런 일을 하는 자를 권력자 입장에선 충신이라 하는데,

동전의 양면처럼 이들이 간신이 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객관적 사실로 간신이라는 오명을 피할 수 없는 경우도 있겠지만,

충신이 간신으로, 간신이 충신으로 변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 책은 그런 관점으로 서술되어 있다.

저자는 최대한 객관적으로 간신을 살펴 본 듯하다.

한명회부터 이완용까지 총 9명.

책에는 정조 때 인물인 홍국영부터 등장한다.

저자는 제목에 이어,

왜 간신은 끊이지 않는가?

간신은 이렇게 태어났다.

간신은 이렇게 모든 것을 장악했다.

간신은 이렇게 만들어졌다.

라고 소제목들을 달아놨다.


이 소제목들은 읽어 가는 전개 순서상 상당한 도움을 준다.

결론은 간신은 만들어진다는 것.

군주의 요구에 따라, 시대상황에 따라, 개인적 원칙에 따라.

그리고 이러한 상황들이 회사라는 조직에서도 심심찮게 볼 수 있다는 것.

즉 역사적 사실에 국한된 것이 아닌, 우리 삶 속에서도 비일비재하다는 것.

우리나라만 보더라도 정권이 바뀌면,

전정권에 대한 상상을 초월하는 파헤침이 있어 왔다.

회사에서도 잘 나가는 사람은 이 책에 등장하는 간신과 유사점이 많다.

내가 하면 정당한 것, 남이 하면 아부.

내가 성공하면 실력이 좋아서, 남이 성공하면 권력의 개가 돼서.

간신이 왜 만들어지는 지를 우리는 이미 알고 있지만,

이 책을 읽어 보면, 잘 정리가 된다.

심지어 읽는 중간 중간

성공을 위해 간신이 됐어야 하는데...라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저자는 간신이라 불리는 9명의 인물을

왕, 환경, 처세, 이익 등등의 관점에서 잘 분석해 놓았다.

마지막을 장식하는 유자광에 대해선

흙수저의 성공이었음을 내비치기도 한다.

간신.

누가 정의하는 것인가?

역사를 보면

간신이든 충신이든 효용가치가 사라지면

토사구팽 당했던 사례가 너무 많다.

그렇다면, 잘 살기 위해서라도

자타공인 간신은 아니어도,

간신스러워야

하는 것은 아닌가?

읽는 흐름을 하나 방해하는 내용이 있었는데,

원균을 이야기 함에 있어,

시대적 상황인 임진왜란을 너무 많이 얘기한 듯 하다.

이 책을 읽은 결론은

왕과 간신은 공생관계였다는 것.

 

고려사에 이렇게 적혀 있다고 한다.

간신의 출현은 막을 수 없으니,

군주라면 그들을 잘 활용해야 한다.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을 다시 읽어 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