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0, 경성 설렁탕 마음으로 읽는 역사동화
조은경 지음, 김수연 그림 / 머스트비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30, 경성 설렁탕


 

뜨끈한 설렁탕 뚝배기에 담긴 1930년대 경성

어지러운 그 시절 우리 민족의 진솔한 이야기.



백정은 예로부터

일본이 조선에 들어오자마자 고기소를 엄청 키워

살코기만 일본으로 가져가고

나머지 뼈나 내장 같은 부산물만 남게 되어

이 부산물들을 벡정들이 처리하게 되다보니

설렁탕을 만들게 되었다고 한다.

그 이유로 경성에는 설렁탕 가게가 많았다고 한다.

설렁탕은 싼 가격에 고기 국물을 먹을 수 있는 좋은 음식이고

그래서 주인공 우양이 아버지는 백정이여서 

시골에서 서울로 올라와 설렁탕  가게를 차린 것이다.


시대가 변해 임금님이 모든 신분에 차별이 없앴지만

마음이나 생각까지 바꾸지 못했기에

백정들은 평범하게 어울려 살고 싶은 열망에

 전주에 사회운동가들의 도움으로 형평사를 만들어졌고

참다운 인간이 되고자 하는 그들의 인권을 지키기 위해

공부하며 유지하고 있지만시간이 갈 수록

 백정 사이에서도 부자와 가난한 자로 나뉘는 일이 생기기까지 한다.


주인공 우영이는 학교에서 공부를 하지만 동규 패거리들에 의해

항상 당하기만 한다. 돈많고 일본 앞잡이 노릇을 하는

동규의 아버지는 또한

우양이 아버지의 친구이기도 하다.

하지만 언제나 권력앞에 가난하고 힘없는 사람들이 무슨 수로

이길 수 있겠어요.

우양이는 동규 패거리들을 이기기 위해서라도

열심히 공부해서 상급학교에 진학하고자 열심히 노력한다.


항상 동규 패거리에 붙잡혀 얻어맞고 곤욕을 치른 우영이는

어느날 동규 패거리들에게 단단히 당하지만 끝까지

동규와 맞서게 된다. 그 모습을 본 아버지가 동규 아버지를 찾아가

난리를 친 통에 경찰에 붙잡혀가서 구치소에 가게 된다.

우양이는 동규와 싸우는 것이 의미가 없다는 것을 깨닫고

정말 하고싶은 고기 요리사의 꿈을 갖게 된다.

설렁탕을 먹는 사람들을 통해

음식이 단순히 배를 채우는 것이 아닌 힘을 주기도하고,

아픈 마음을 달래 주기도 하고, 감사의 마음을 표현하는 것이기도 하고,

닫힌 마음을 열어 사람과 사람을 이어주는 것이라는 많은 것을 깨닫게 된다.


아버지가 다시 설렁탕 가게를 맡게 될때까지

음식을 통해 사람들을 행복하게 만들고자하는 꿈을 갖게 되고

야학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는 춘길이 형도 잘못된 세상을 바꾸기 위해

노력하고 교육에 힘을 쏟아 가르치다보면 좋은 세상이 올 것이라 희망한다.


겉으로 보기엔 뼈 뿐이지만 끓이고 끓이다보면 그 속에서

진한 육수가 나오고 구멍이 송송나면서 뼈가 국물에 녹아들어가

사람들의 마음을 어루만지는 것처럼

작은 음식 하나가 주는 고마움과 참된 가치를

이 책을 통해 배울 수 있답니다.

또한 자신의 자리에서 멈추는 것이 아니라 더 큰 노력이나

아픔도 참아내면서 더 나은 사회를 위해 자신을 아끼지 않는

이 책의 주인공들이 참으로 대견합니다.


이 책을 통해 경성의 옛 모습을 잠시나마 살펴볼 수 있었어요.

그리고 사람답게 살고 싶었던 백정들의 간절한 소망, 형평사에 대한

역사적 배경과 모습등을 함께 배울 수 있었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