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의 시간 암실문고
클라리시 리스펙토르 지음, 민승남 옮김 / 을유문화사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서협찬 #암실문고

클라리시 리스펙토르의 마지막 작품.

“나는 여기 이것을 지금은 슬프게도 유골로 남은 오래전의 슈만과 그의 사랑 클라라에게 바친다“ 라는 저자 헌사의 첫 문장으로 시작해 ”지금은 딸기 철이라는 걸 잊지 마시기를“ 이라는 마지막 문장에 도착하기까지 ‘별의 시간’이라는 찰나를 경험한 것 같기도, 처음도 끝도 모호한 영겁을 들여다본 것 같은 기분이 들기도 한다.

줄거리를 요약하는 것이 중요하지 않은 작품이다. 그저 클라리시 리스펙토르의 예리하면서 신비롭고, 독특하면서 통찰력 있는 문장들의 변주를 그대로 느끼며 읽다 보면 페이지가 금새 줄어든다. 그렇다고 짧은 분량이 쉽게 읽히지는 않는다. 화자가 묘사하는 인물의 서사를 쭉 따라가다가도 군데 군데 걸려 넘어지는 문장들이 많아 느린 호흡으로 읽는 것이 더 좋았다.

“얻는 법 중의 하나는 찾지 않는 것이며, 소유하는 법 가운데 하나는 구하지 않고 그저 믿는 것이다. 내 안에 있으리라 믿고 있는 정적이야말로 내게 주어진 수수께끼의 답일 거라는 믿음.”

“지식인이 아닌 나는 몸으로 글을 쓴다. 내가 쓰는 건 축축한 안개다. 말들이란 종유석들과 레이스 장식과 변형된 오르간 음악 사이를 불규칙하게 가로지르는 그림자들로부터 주입받은 소리들이다.”

“내 기쁨 역시 나의 가슴 속 가장 깊은 곳에 있는 슬픔에서 생겨난다는 것, 그런데 슬픔은 불발된 기쁨이라는 것.”

“그녀는 마치 자신의 내장을 먹듯 스스로를 집어삼키며 연명했다.”

“죽음, 이 이야기에서 내가 가장 좋아하는 등장인물.”

사실 책 앞부분에 저자가 이 작품의 제목들로 고안했던 말들이 나열되어 있어, 이 말들을 계속 생각하면서 읽게 되었다. 그에 해당하는 문장이나 이야기가 나오면 나름 체크도 해 가면서 읽었더니, 뭔가 수수께끼를 해결해나가는 것처럼 느껴져 더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다. 나열된 있던 제목 중 마카베아를 떠올릴 때 “블루스를 부르며” “어두운 바람 속의 휘파람” 그리고 “싸구려 신파”가 강렬하게 기억에 남는다. 그렇지만 페이지를 다 덮었을 땐 <별의 시간>이 이 작품의 제목이어야만 했구나 싶어진다. 그녀의 영혼이 탄생한 순간부터 흘러온 시간 그 자체가 “별의 시간”일 테니까. 거대한 정적 속 별의 시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