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식주의자
한강 지음 / 창비 / 2007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무슨무슨 문학상’ 이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는 책이라면 닥치는대로 읽었던 시절에 처음 보았다. [몽고반점] 이라는 소설을. 아니, 소설이라고 하기보다 미술 같았다고 하는 편이 더 알맞겠다. 한 폭의 그림을 본 것 같다는 말이 아니다. 그 소설은 붓의 광기를 담고 있었다.  그 소설엔 물감의 잔혹한 미소가 있었다. 
마치 생전처음 사망사고 현장을 목격한 것 같은 패닉이, 책을 덮는 순간 찾아들었다.
이 작가는 미쳤거나, 제정신이 아니거나, 천재의 광기를 가진 사람이라고 생각했다.
책의 겉표지를 보니 그것 참... 
’이상’ 문학상이었다.
나에게 한강이라는 이름은 자상(傷)의 흔적처럼 한 켠에 남았다. 

이후로 나는 언듯언듯 치미는, 번뜩거리는 짐승의 이빨을 옷 속에 애써 숨길때마다 그녀가 생각났다.  어울리지 않는 날렵하고 매끄러운 손가락을 쫙 폈다가 꽉 주먹을 쥐며 내 살을 파고드는 손톱의 감촉이 생생해지면, 조금씩 차가운 이성이 제자리를 찾아와 혀를 길게 빼물고 헐떡이는 숨을 쉴때면, 묻고 싶어졌다.

당신도 이렇게 참았나요? 당신의 턱을 타고 흐르는 과즙같은 말간 침을 애써 소매로 훔치면서 참았나요?  

그녀는 조용히, 한편으론 격정적인 답을 던져주고 홀연히 떠났다. 그게 바로 이 책, [채식주의자] 였다. 총 세 개의 단편. 나는 첫 번째 단편 ’채식주의자’ 를 읽고 킥킥 웃었다.
연작이야? 이게 연작이었어?
두 번째 ’몽고반점’과 세 번째 ’나무불꽃’ 까지 단숨에 읽고 나서 느꼈다. 내 안에 다시금 치미는 짐승의 울음을. 

1년만에  다시 이 책을 꺼냈을 때는 새벽 1시였다. 
그리고 두 번째로 마지막 장을 덮었을 때는 새벽 2시였다. 
명백한 조소가 멍청한 얼굴에서 흘러 나왔다.
다음번에 불온서적을 지정할 때에는 꼭 이 책을 집어넣어야 할 껄.

나는 분명히 그렇게 생각한다. 한글을 읽을 줄 아는 교양있는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이 책을 읽고나서, 날카롭게 튀어나온 자신의 손톱이나 까슬하게 혀에 감기는 송곳니가 매혹적이게 느껴질테니까. 정답게 지저귀는 화려한 깃털의 새를 손아귀에 터지도록 붙잡고 이빨로 물어뜯어 따뜻하고 달큰한 피를 목구멍 깊숙이 느껴보고 싶어질테니까.
이건 인간이라면 누구에게나 있는 잔인한 이면을 끄집어 내는 혼돈의 책이다.

[채식주의자]를 다 읽고나서 나는 처음 질문을 수정해야 할 필요성을 느꼈다.

맹수의 발톱이 자란 당신의 손에 연필을 쥐여주고 부들부들 떨리는 손으로 얼마나 많은 연필을 부러뜨렸나요? 어떻게 연필의 궤적이 남은 종이를 갈기갈기 찢지 않을 수 있었나요? 

한강, 그녀는 차갑게 일렁이는, 걸쭉한 늪같은 작가다. 그녀는 물이다. 지독한 물.
한번의 철썩임으로 새파란 아기를 잡아먹고, 피묻은 입가를 닦은 뒤,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 환하게 미소짓는 잔잔한 파문같은 물. 

그녀가 가진 눈(眼)의 깊이에 소스라치게 놀란다.
이제 그녀의 다른 거짓말을 읽기가 겁이 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