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작 스마트 소설 스마트소설 외국작가선 1
주수자 옮김 / 문학나무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에 글을 읽으며 상상을 하는 과정이 귀찮았는지 읽은 책들은 거의 대부분 자기개발서나 짧막하게 끊어지는 에세이였다.
고로 이 책은 상당히 오랜만에 읽은, 기념적인 문학서적이다.

시대를 앞서간 스마트 소설이라는 책인데, 여기서 스마트 소설이란 라틴 문학의 ‘미니픽션’의 영향을 받아 탄생한 ‘문학나무’가 명명한 짧은 소설 장르라고 한다. 이게 무슨 말인가 했는데 단순히 ‘이렇게 짧은 것도 소설이라고?’라고 생각할 법한 짧막한 글을 지칭하는 새로운 단어인 것 같다.

프란츠 카프카, 나쓰메 소세키, 버지니아 울프, 에드가 앨런 포우 같이 들어본 적이 있는 작가도 있었고 처음 보는 작가들도 있었다.
다양한 국적의 작가가 쓴 글을 읽으며 문체의 차이를 느낄 수 있었다.

작품이 있고 그 뒤에 평설이 있는 형식이나, 모든 작품에 평설이 있지는 않았다.
앞서 썼듯 최근에 글을 읽고 상상해야하는 문학작품을 읽은 적이 거의 없어서 읽고도 이게 무슨 의미인가 싶은 글도 많았는데 평설을 읽으면서 ‘와 이게 이런 의미였다고?’하며 감탄하게 되었다. 통찰력있고 유려한 문장이었다.

분량이 긴 문학작품을 읽기에는 시간도 집중력도 꽤나 필요해서 평소에 읽기 부담스러웠는데 이건 길이가 이게 소설인가 싶을 정도로 워낙에 짧아서 부담없이 가볍게 읽을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었다.

모든 작품이 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인생에 대한 통찰을 느낀 작품이 몇가지가 있다.


1. 프란츠 카프카의 독수리.

정말 짧은 글이다. 독수리 한마리가 한 사람을 쪼아대고 있는데 지나가던 신사가 그 모습을 보고 왜 참고 있느냐고 묻는다.
당해낼 수가 없다고 말하는 사람. 그 모습을 보고 “총 한방이면 독수리를 끝장낼 수 있을 텐데”라고 말하는 신사.
총을 가져올 수 있겠냐는 사람의 말에 30분만 더 기다려달라는 신사.
이 대화를 듣고 있던 독수리에 의해 사람은 생을 마감한다.

나는 이 글을 읽으며 지난 날의 어린 내가, 그리고 우리 주변에 있는 많은 사람들이 떠올랐다.
흔히 들을 수 있는 말이다. 대체 왜 참고 있어요? 라는 말.
나를 힘들게 하는 원인보다 때로는 왜 참고 있냐는 옆에서 거드는 말이 더 화나게 하고 무력하게 만든다.
이런 은근한 힘듦을 아주 짧은 글로 표현한 점이 대단하게 느껴졌다.



2. 불행 교환 상점_로드 던세이니

“만약 나의 불행을 누군가의 불행과 바꿀 수 있다면?”

불행을 바꿀 수 있는 상점에는 다양한 사람이 본인의 불행을 바꾸러 온다.
놀라웠던 점은 죽음을 교환한 사람이 있다는 것.

P105. 
그러니까 한 인간의 악, 불행이라는 것은, 오직 자신에게만 가장 끔찍한 것이라는 것이다. 악 또는 불행은 모든 인간의 마음에 불균형하게 존재하기에 사람들은 이러한 작고 음침한 상점에서 극단적인 해결을 찾는 것이었다.

평설에 있는 글인데 통찰력이 느껴졌던 문장이다.

P.111 
죽음에서부터 엘리베이터 타기까지 불행을 서로 바꿀 수 있다는 점에서 불행의 상대성을 드러내 보이며 그렇기에 세상의 모든일이 불행일 수 있음을(반대로 불행이 아닐 수도 있음을) 역설적으로 보여준다.



3. 복수는 시작되다_에이빈드 욘손
이 책을 통틀어 가장 재미있었던 에피소드이다.
아들에게 사랑하는 여자가 생기자 이에 분노하는 한 노파의 이야기.

이거는 직접 읽어봐야 재밌는 작품이라 상세하게는 설명하지 않겠다.
아들을 향한 비뚤어진 사랑때문에 어떻게 생각이 발전되는지를 볼 수 있는데 해외에서도 이런 일이 일어나기에 작품화가 된 것인가 싶었다.
엄청나게 흡입력 있는 작품.



갑자기 아이를 출산하고 육아하면서 ‘나’로 있을 시간이 없어졌었는데 오랜만에 (내 기준)우아하게 문학작품을 읽으며 나만의 시간을 보낼 수 있었다.
긴 문학을 읽기 어려운 사람이라면, 짧은 스마트 소설에서 통찰을 느껴보시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