쉽게 읽고 되새기는 고전 국가 클래식 브라운 시리즈 3
김혜경 지음, 플라톤 원저 / 생각정거장 / 201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플라톤 하면 서양 철학을 떠 받치고있는 세 거목중 한사람이다.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이렇게. 원래 고전이라는게 뜻은 심오하고 후세사람들에게 오래오래 기억되고 기록되어 전수되지만 내용이나 형식면에서 사람들이 접하기 어려운 것도 사실이다. 그런면에서 이책은 플라톤에 대한 정치적 사상과 그의 정신세계를 쉽게 들여다 볼수있는 책이라 생각한다. 우선 에세이 형식을 빌어 사람들로 하여금 고전에 대한 막연한 거부감을 없에고 대중들이 읽기 쉽게 읽도록 배려하였다.


  요즘 들어서 부쩍 '국가'와'국민'에 대한 생각을 많이 하게 되는 사건 사고들이 벌어지고 있다. 국가란 무엇이고 그안에 살고있는 시민(국민)은 또 어떤 관계인가. 어떤 관계 이어야만이 이상적인 국가와 국민과의 관계가 될 수있는가. 국가는 개인 개인이 모여서 만들어 졌으며 개개인들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고 나아가 사회를 보다 더 나은 방향으로 만들어 나각기 위해 만들어진 정치,행정의 집합체이다.


  국가가 시민이 바라는대로 잘 굴러가면 그 사회는 안정되고 그렇지 못할 경우, 즉 국가의 권력이 시민을 억합하고 통제하려 한다면 불행한 사회가 된다. 동서고금의 역사를 통해 이를 증명해 주고있다. 우리나라이 예를 보더라도 그렇다. 독재자가 출현하여 나라를 좌지우지하게되면 국가는 부패하고 시민들과 대립하여 갈등이 일어나 비극적 결말을 초래한 경우가 있지않은가. 통제되지 않는 권련은 스스로를 파멸시킨다. 왜냐하면 국가의 권력의 속성이 투명하게 감시되고 공정한 법적, 행적적 집행이 되지 않으면 소수의 권력 독점자들에게 오용될 소지가 크기때문이다. 권력의 힘은 그만큼 크고 달콤하여 누구라도 그 달콤한 유혹을 이겨내기 쉽지가 않다. 그렇게 큰 권력인 만큼 권력을 집행하는 자는 권력의 맛에 취해 내려놓으려 하지 않고 영원히 갖기를 원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자신을 반대하는 세력을 제거해야한다. 거기서부터모든 불행이 시작된다. 투명한 시스템에 의한 국가의 운영만이 정답이다. 인치가 아닌 법치에 의해 그리고  그 법을 공정하게 운영하는 사람과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개선해 나가야 한다. 시민이 OK 할때까지.


 이책은 국가가 어떻게하면 국민으로부터 신뢰받고 공정하고 투명게 운영되어 이상적인 국가를 만들수 있는가를 알려준다. 한번 읽어봄으로써 국가의 정의에대해 다시 생각해 보는것도 좋을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