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 서른에 책 3,000권을 읽어봤더니
이상민 지음 / 대림북스 / 2015년 7월
평점 :
절판


나이가 30이 되도록 책을 3,000권 읽는 다는건 실로 대단한 일이다. 내경우  일년에 10권정도 책을 읽으려나... 책을 이렇게 많이 읽었다면 책에대한 극찬이나 책 예찬론을 기대해 봄직 한데.... 저자는 오히려 책에대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실체를 확인한 듯 하다. 물론 책을 읽으면 좋은점을 많이 소개하기도하지만 우리가 일반적으로 맹신하듯 받아들이는 독서에 대한 장점을 논한다면 이책의 가치나 출판의 의미는 줄어들 것이다..하지만 저자는 적극적으로 책의 한계점과 문제점을 얘기한다.


독서를 많이 하면 모든게 다 가능해질거라는 막연한 생각이 우리들 마음속에 있는것이 사실이다..그래서일까..독서를 하기가 왠지 부담스럽거나 거부감이 든다..왜냐하면 독서를 하기위해서는 한참오랬동안 책을 뚤어지게 봐야하는 인내심을 현대인들에게 요하기 때문이다..그래서 책을 가까이하는 자는 막연히 스마트하고 유식하고 현명한 사람처럼 여긴다.


하지만 저자는 책이 가지고있는 장점과 단점...특히 책만으로는 세상의 이치를 깨달을 수 없다고 단정한다...책은 저자의 주관으로 씌여질수도 있고 잘못된 생각으로 독자를 오도할 수도 있기때문이다..또한 책은 간접쳏험이다...책일 단순이 읽기만 한고 개인적인 체험이나 그에따른 느낌이 없다면 그것은 완벽한 체득이 될 수 없다고 말한다.


저자는 간접적인 체험 방법이긴 하지만 책의 부족함을 채워줄 수있는 방법중 하나는 다큐멘타리나 여행을 권한다..그리고 어떤 분야의 전문가를 직접 만나 대화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권한다. 실제 개인적으로 다큐멘터리를 보면 정말 눈에 쏙쏙 들어온다..쉽게 설명해주고 더군다난 영상을 곁들여 보여주니 더욱 생생하게 다가오기 때문이다..이밖에 여행은 진짜 몸소 체험을 할 수있는 인생공부가 아닌가 싶다..


현대인들이 목말라 하는 것이 바로 여행이 아닌가..수면부족과 시간부족에 시달리는 현대인들....한번쯤 이런 책을 보면서 자신으 보습을 돌아보는 것도 괜찮을 듯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