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감추고 싶은 중국의 비밀 35가지 - 중국 아킬레스건 중국의 베일을 벗긴다.
박경귀 지음 / 가나북스 / 2015년 2월
평점 :
서점에 가서 중국관련 서적을 보면 십중팔구 중국에 대한 낙관적인 견해를 밝힌 책들이다. 중국의 경제가 일본을 제치고 세계 초 강대국 미국의 턱밑까지 추격하게 되니..사람들의 중국에 대한 평가도 긍정의 쏠림 현상이 나타난 듯 싶다. 물론 객관적인 자료와 분석을 토대로된 서적이라면 괜찮겠지만 막연히 그런 시류에 편승해서 찬양일변도의 책들이 시중에 나와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다 보면 읽는 독자들은 중국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습득하기 보단..잘못된 정보로 인해 유무형의 피해를 볼 수도 있지 않을까? 특히 사업을 하는 사람들에게는 무엇보다도 객관적이고 정확한 자료를 바탕으로한 지식과 정보가 중요하다.
이런 맥락에서 볼때, 이번에 읽게된 '감추고 싶은 중국의 비밀 35가지'는 중국에 대한 날카로운 분석과 비판이 눈길을 끈다. 중국에 대한 비판적인 서적들을 모아 설명하고 저자의 평론이 덧붙여 진다. 우선, 중국인들의 성향을 분석하는 부분에서는 중국인들의 민주주의에 대한 정신의 부재랄까? 개인의 인권과 권리 그리고 자유에 대한 마인드가 부족한 이유를 밝히는데 그것은 단순히 중국이 사회주의국가이기 때문에 개인의 이익보단 전체를 위하는 마음이 우선하기 때문만은 아니라 한다. 그것은 아주 오랫전부터 중국인들의 마음속에 뿌리박혀 있는 사상들에 그러한 요소가 있다고 한다. 공과 사이 관계정립에 있어 공은 선이고 사는 악한것이라 여긴다..이는 대의를 위해 소아를 희생한다는 내용과 맥을 같이 하는 것으로 개인의 사사로운 이익은 공익을 위해서 라면 희생되어야 한다는 논리와 다를바없는 것이다.
또한 저자는 보양의 '추악한 중국인'에서 더럽고 무질서하고 시끄럽다는 것과 분열적인 모습에 비판은 가한다..또한 과장과 허풍을 떠는 중국인을 말한다. 또한 공자의 유교와 관련한 비판을 가한다. 유교의 지나친 이상과관념이 중국인들을 이중적으로 만들었고 실제 생활에서는 실행할 수 없다고 비판한다. 머릿속에 있는 이상적인 관념은 있지만 그 이념은 실 생활에서 적용하거나 활용할 수 없다는 것이다.
충격적인 것인 중국인들은 국가가 개개인을 사찰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른바 '개인이력기록'이라는 것인데 중국인의 생각과 행동을 철저하게 감시하고 옥죄는 사찰제도로서 호적과 별개로 작성되는 두번째 호적인 개인이력기록이다. '중국인 개개인의 당성검증서인 동시에 생활기록부인 셈이다. 중학교 때부터 누군지 모르지만 지정된 공산당원에 의해 '작성된'개인이력은 평생 중국인을 따라다닌다' 이대목은 참으로 무서운 대목이다. 이것이 사실이라면 중국인의 실 생활에 지대한 영향을미칠 것이며 개인의 인권이 침해되고 자유로운 의사표현이나 활동은 기대할 수없게 된다. 이 것이 사실이라면 가히 충격적인 사실이다.
중국의 경제 실상에 대해서도 날카로운 매스를 들이댄다. 세계 G2의 경제 대국..과연 국민들의 삶은 어떨까>? 저자의 말에 의하면 중국인의 근로수득 비율이 미국58%, 일본 53% 한국 44%에 비해서 턱없이 낮은 8%에 불과하다는 점가 임금 수준도 독일 30.6달러, 일본 20.68달러, 한국 9.99달러에 비해 중국은 고작 0.8달러밖에 안된는 실정으로 대다수의 국민들의 삶이 빈곤의 늪에서 허덕이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중국경제의 최대 위험요인으로 인플레이션과 부동산 거품...거대 국유 기업들의 독과점 횡포는 시장경제질서를 외곡하고 결과적으로 그 피해는 중국의 인민들에게 돌아가고있다는 것이다. 말그대로 중국의 과실은 당(공산당)이 따먹고 쭉정이는 대다수 국민들에게 나눠주는 꼴이 아닌가.
책을 읽으면서 개인적으로 알지못했던 여러 중국의 실상들을 보며 놀라기도 했다. 하지만 저자의 시각이 비판을 위한 비판이아닌까 하는 의구심도 지울 수 없다. 이렇게 심각하고 많은 문제점이 있는데도 중국이 세계 경제성장의 버팀목의 역할을 하고있고 정치적으로 도 대국의 길을 가고 있지 않는가..필자의 우파적(어쩌면 극우적이기 까지도 한) 시각에서 공산주의 그리고 중국 공산당에 대한 맹목적이고 노골적인 편견과 불만이 가득해 보이는것도 사실이다. 오히려 저자의 편협한 시각이 독자들로 하여금 실제 중국의 문제점들을 바라보고 지적하고 들어내는데 방해가 되고 부작용의 요인으로 작용하는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