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욱하는 성질 죽이기 - 행복하고 싶으면 분노를 조절하라!
로널드 T.포터 에프론 지음, 전승로 옮김 / 다연 / 2014년 10월
평점 :
품절
누구나 한번쯤 '욱'하고 화를 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상황이 자신의 의지대로 진행되지 않을때 또는 상대방과의 갈등에서 비롯된 분노의 순간적 폭발...때로는 나를 모욕하고 멸시하는 말과 행동에 순간 화가 치밀어 분노로 폭발하는 상태를 겪어본 적이 있을것이다. 책은 욱하는 성질이(순간적 분노 폭발) 일반적인 화냄과는 다른 정신적 질병으로 규정한다. 그리고 이러한 '욱'하는 성질도 종류별로 몇가지로 분류되어 있다고 한다. 한마디로 '욱'하는 분노 폭발은 인간의 자연스럽고 순간적인 감정의 분출이 아니라 정신의학적인 측면에서 봤을때 분명한 일종의 정신병이라 말할 수있겠다. 왜냐하면 그러한분노폭발은 일시적 또는 완전한 '이성 상실'에 이르기 때문이다.
책에서는 분노(욱하는 성질)의 종류를 체계적으로 분류해서 설명한다. '욱'하는 성질에도 종류가 있었다니...책을 읽고 처음 알게된 내용이다. 우선 총체적 분노, 돌발성 분노, 잠재적 분노, 생존성 분노, 체념성 분노, 수치심에서 비롯된 분노, 버림받음에서 비롯된 분노등 이렇게 분류해놓는다. 책을 읽어 내려가니 우선 나 자신의 욱하는 성질이 어디서 비롯된것인지 짐작 할 수 있었다. 중요한것인 많은 연구자들의 연구결과로 이러한 순간저 분노폭발(욱하는 성질)에 대한 체계적이고 분석적인 원인을 규명하고 그 치료법을 모색하고 있다는 사실에 새삼 놀랍고 감사하다는 생각까지 든다.
흥미로운 점은 분노에 대한 각가지 해석이다 책에보면 '분논느 우리의 뇌가 넘치는 화를 주체하니 못할때 응급조치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풍선이 뻥 하고 터지더라도 일단 응급상황이 지나면 몇 분 혹은 몇시간 이내에 평소 성격으로 돌아온다'라고 되어있다. 이런 면에서 본다면 때론 분노 폭발이 (자주 분노를 폭발하는건 좋지 않겠지만) 복잡한 사회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일면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필요한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든다. (물론 타인에게 피해가 가지않는 범위내에서 말이다) 그래서 어떤 나라에서는 분노를 폭발할 수 있도록 하는 샾이나 단체가 있어 그곳에가서 자신의 스트레스를 맘껏 푸는 곳도 있다고 들은 적이 있기도 하다. 분노의 원인은 상대방과 더이상 대화가 이어지지 못하고 자신의 뜻을 관철하지 못하거나 상대방으로부터 모욕적인 언행을 접할때등 다양하게 일어난다. 그런 상황을 맞이한 순간 우리는 지킬박사와 하이드 처럼 순간적인 '변신'을 하게 되는것이다.
책은 결국 순간적인 분노 폭발의 원인을 '뇌 손상'에서 그 원인을 찾는다. 즉, 감정을 조절하는 '뇌'의 일부기능이 손상되거나 발달 되지 못했기 때문이란다. "분명한 사실은 폭발적인 분노를 가진 어린이나 쌍극성 장애를 가진 어린이나 모두 '보통'어린이에 비해 분노를 조절하는 능력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그러면 이러한 문제점을 보이는 어린이는 모두 뇌에 이상이 있어서 분노를 참지 못하는 것일까? 파발로스 부부(연구자)는 그렇다고 믿는다. 그들은 이러한 증세를 보이는 어린이의 경우 뇌에서 감정을 조절하는 부분인 변연계(편도, 중격, 대상회, 해마를 포함한다)가 부분적으로 손상됐을 수 있다고 책에서 말한다"(p.50)
개인적으로 평상사 자주 욱하는 성질을 내곤 했는데 (물론 그 정도는 책에 나와있는 사례들보다는 훨씬 덜 하지만) 이런 순간적 분노 폭발이 뇌의 부분적 이상에 의한 것이었다니...충격적이 사실이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욱하는 성질은 쉽게 고칠 수 없 다는 것이고 심할경우 결국 주위 도움보다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개인적으로 자신의 과거를 돌아보는 것도 분노폭발의 원인을 찾는 좋은 방법이라 하겠다. 어렸을적 부모나 일가친척으로 물리적 학대를 받았던 트라우마나 지나친 음주와 과도한 약물복용도 이러한 '욱'하는 성질을 만드는 원인이 될 수 있다고 한다. 책은 이런 분노는 일종의 '마약'과도 같다고 말한다. 즉, 쉽게 끊을 수 없는 고약한 성질이라는 것이다.
해결책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책은 우선 어렸을때부터 감정 조절하는 교육을 자녀들에게 해야한다고 조언한다. 또한 자신의 분노에 대해 진지하고 고민하고 체계적으로 접근하고 장기적으로 치유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여러 종류별 분노에 따른 대처법과 그 러한 분노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체계적인 해결방법을 알려주고 있다.
책을 읽고나서 나 스스로에게도 묻게 되었다. 분노는 정신질환이다... 물론 책에 나온 사례만큼이나 그렇게 심각한 수준은 아니지만..일상 생활에서 화를 좀더 참고 긍정적인 에너지로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책에 나온 좋은 해결방법들을 실천해보고 가급적 '욱'하는 성질을 없앨 수 있는 노력을 시작하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