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결혼에 관한 7가지 거짓말
존 제이콥스 지음, 김명식 옮김 / 학지사 / 2014년 10월
평점 :
절판
'결혼에 관한 7가지 거짓말'이란 책을 통해서 깨달은 바가 있다면 그것은 결혼은 우리가 싱글이었을때 상상하던 환상의 미래가 아니라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저절로 행복한 가정을 만들게 해주지도 않는다는 것이다. 사람은 태어나서 성인이 되면 결혼을 한다. 또한 혼기가 차서 마땅한 상대방을 찾지못해 결혼 정년을 넘겨 노총각이나 노처녀로 남는 경우도 있는데 이럴경우 한국사회에서는 그다지 좋은 현상으로 바라보지는 않는것 같다. 물론 독신주의 자들은 평생 동반자를 구하지 않고 혼자 살다가 생을 마치는 경우도 있다. 도대체 결혼이란 뭐길래 ...사람이 태어나서 반드시 치뤄야 할 의무적인 통과의례가 되어버린 것일까?(물론 옛날보다 그 강도는 훨씬 덜 해지긴 했지만) 그리고 왜 사람들은 결혼전 가지고 있던 아름다운 환상을 결혼후에도 지속적으로 유지하지 못하고 버리거나 버림당하도록 강요(?)당하는 것일까?
책은 결혼에 대한 환상과 잘못된 기대를 가지고 있는 현대인들의 심리를 정확히 꾀뚤어 보면서 불만족 스러운 결혼생활의 원인을 찾아내고 대안을 제시한다. 개인적으로 흥미로운 부분은 여섯번째 '아이는 결혼은 보호해 준다'부분이다. 아이들이 셋씩이나 있는 우리집의 경우를 보더라도 저자의 주장에 십분 공감이 가는 부분이 많다. 결혼하고 굉장히 사랑과 애정이 넘치는 시기에 부부는 바로 아이를 갖고 출산하게 되면..아내는 갓난아이에게 온통 신경이 가있고 남편에게 상대적으로 소홀해지기 마련이다. 물론 이해심이 많은 남편은 이전보다 보다 더 아이와 아내를 이해하고 소원해지긴 부부관계를 잘 극복하는 경우도 많다. 하지만 아기때문에 부부관계가 소홀해지거나 나빠지는 경우도 있음을 인정해야 한다. 아이가 자라서 유치원,초등학교 다니는 경우, 즉 손이 많이 가는경우는 어떨까? 마찬가지로 부부중 한쪽(대부분 아내쪽일 것이다)은 아이들 뒷바라지로 정신이 없기 마련이다. 시간이 흘러 부부사이는 신혼시절 생각했던 그런 낭만과는 너무 멀어져 버리게 되는것이다. 모든 부부가 다 그렇다는 건 아니지만 현실적으로 이렇게 흘러가는 경우가 적지않다. 공감이 가는 대목이다. 지금 글을 쓰고 있는 이순간에도 아내는 초등생 딸아이 기말시험 준비에 여념이 없다. 부부지간의 사적인 시간이 거의 없다해도 과언은 아닐듯 싶다. 요즘은 일과 아이들을 위해 사는 느낌이다. 아이들 키우기 위해 돈을 벌어야 하고 ...아이들 학원비..나아가서는 대학, 결혼준비 하기위해 돈을 저축하고.... 부부지간 서로의 관심과 사랑을 키울 시간이 점점 사라져 가는것이다. 이것이 바로 대한민국 부부의 현실 아니겠나.
두번째로 관심가는 부분은 일곱번째 '성 형명은 부부간 성생활을 과거보다 더 좋게 만들었다'이다. 책의 저자가 이야기 하는 부분도 부부간 성생활에 있어서 최악의 방해물은 TV속에 나오는 아름다운 남과 여의 로맨틱한 드라마나 영화 또는 외곡된 선정적 동영상이나 영화가 아닌가 싶다. 얼굴은 미인에 금발의 여인..미끈한 몸매의 여주인공의 모습을 보면서 뭇 남성들은 자기들의 성적 파트너가 그런 여성들이 되어주기를 갈구하지만 실상은 아침부터 저녁까지 하루종일 직장생활에 지쳐 돌아온 때론 생기없이 피곤에 지친 아내의 모습을 보게된다. 그뿐인가..집에오면 저녁식사 준비하고 아이들 돌봐주다보면...녹초가 되버리는 대한민국의 아내들의 모습이 아닌가 말이다. 그런 피곤한 몸과 마음을 지닌 상태로 제대로된 부부관계를 맺기르 희망하는 그 자체가 대한민국 남성의 자화상이 아닐까... 너무 이기적이지 않나 하는것이다. 뭐, 그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 겠지만 말이다.
책에서의 해결책은 의외로 간단하지만 대한민국이 처한상항으로 인해 ( 그것은 오랫동안 내려져온 뿌리깊은 관습때문이기도 하다) 간단하지가 않다. 수천년간 이어온 대한민국 부부관계의 모습은 일종의 주종관계라고나 할까? 뭐 요즘은 시대가 많이 변했다고는 하지만... 오랜기간동안 몸에베어 내려온 관습은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습관은 제2의 천성이라고도 하질 않는가. 남편은 밖에서 돈벌어오고..아내는 집에서 가사를 담당하거나 육아를 맡는다. 아내는 일하고 돌아온 남편을 위해 저녁을 차리고 아침엔 아침식사를 대접한다. 가만히 보니 차라리 옛날의 부부관계는 그래도 더 낫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해본다. 왜냐하면, 현대여성들은 슈퍼우먼이 되지않으면( 결혼,직장생활,육아를 도맡아 하기때문에..) 안되는 현실때문이다. 여권이 옛날보다 많이 신장되었다곤 하지만 현실은 이전과 별반 다르지 않다. 여전히 여성들은 일이 끝나면 집에와서 가사일을 하고..아이를 돌보고..또다시 출근준비를 하면서 직장에나가 열심을 일을 한다..
이제는 좀 바뀌어야 한다. 특히 나같은 남성이 바뀌지 않으면 부부관계의 개선을 힘들지 않을까 반성해본다. 결국 부부지간의 집안일을 비롯한 모든 크고작은 일들을 한쪽이 짊어지지 않고 나누는 길 밖엔 없다. 남편은 퇴근하면 일부분가사일은 자기일이라는 의무감을 갖고 집안일을 해야할 것이다. 이로서 아내의 부담은 줄어들고..생활을 여유를 조금이라도 갖게될것이다. 육체적으로 덜 피곤하고 여류를 조금이나마 갖게된다면 ...남편과 하루의 일과에대해 이야기도 나누고... 부부자신들을 돌아볼 수있는 시간을 갖게되지 않을까? 이런 작은 출발들이 보다낳은 부부생활을 이어갈 수 있을것이란 생각을 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