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서, 조선을 말하다 - 혼란과 저항의 조선사
최형국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병서, 조선을 말하다'...사실 처음 접한 느낌은 책표지부터 뭔가 조금은 고굴하고 옛 선현들의 오래된 병법..그것도 스토리가 없는 말그대로 병서라고만 막연히 추측했는데...막상 책을 읽기 시작하니 우리나라의 역사 특히 조선의 역사를 개국초기부터 일제강점기..그리고 해방에 이르기 전까지 우리민족이 온갖 전쟁을 경험하면서 쌓아온 병법의 기술을 역사적 스토리와 함께 재밋게 서술한점이 눈엔띈다. 

사실, 조선이전의 우리민족은 북방의 기질이 다분하여 다소 호전적이고 고려시대만 하더락도 잃어버린 옛 고구려 땅을 되찾겠다는 뜻으로 국호역시 '고려'라 하기도 한 면에서 볼수 있듯이..전쟁을 잘하는 기마민족이 아니었던가. 돌이켜보면 그옛날 만주벌판을 호령하던 북방의 민족, 고조선과, 고구려, 백제의 후예들이었다.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으로 인하여 고려가 망하고 새로운 나라 조선이 들어서면서 성리학을 숭상하고 불교를 배척하면서 글쎄, 호전적인 모습이 조금씩 사라지기 시작했다고 해야할까? 본격적인 유학자의 나라가 되면서부터 '무', 무예를 등한시 하기 시작하면서 결국에는 선조때 임진왜란을 맞아 나라가 망할뻔도 했다. 

물론, 조선시대 각 군주별, 또는 어느 특정한 시대별 군사에 관한 중요한 서적들이 발간되어 국방력강화를 위해 요긴하게 쓰이기도 하였지만 임진왜란에서 볼 수있듯이 시대를 따라가지못하고 편협한 사대주의 시각으로인해 서구의 문화나 인적교류를 차단해버리고 이단시한 당시 위정자들의 좁은 세계관이 원인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문득 스쳐지나간다. 

왜의 경우 15~16세기부터 서구에서 사람들이 드나들때부터 사람과 문물을 배척하지않고 받아들여 자기들것으로 소화시키고 발전시켜 나간 자신감으로 대외 팽창정책의 일환으로 조선반도를 침략하게 되었던 것이다. 책을 일고 조금은 씁슬하면서도 과거 우리조상님들이 반복해오던 실수나 행태들을 지금 우리가 사는 현제도 우리나라 위정자들이나 사람들이 반복하고 있는것을 아닌가 생각이 든다. 

열린마음으로 세계를 보고 세상에 모든 일들을 관심있게 관찰하고 배워나갈때 우리나라가 부강해지고 전쟁의 비극의 소용돌이에 다시는 휘말리는 일을 반복하지 않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