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자의 영화관 - 그들은 어떻게 영화에서 경제를 읽어내는가
박병률 지음 / 한빛비즈 / 2012년 12월
평점 :
절판


경제, 하면 어렵다고 생각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왠지 딱딱하고, 그래프는 어려워보인다. 그런 편견을 이 책은 날려준다. 우리가 즐겨보는 영화 속 이야기에도 경제학의 내용이 숨어있다는 것이다. 이는 곳 우리 삶 곳곳엔 우리는 의식하지 못하지만 많은 경제학적 이론으로 설명가능한 일들이 일어나고 있다. 경제학자들은 어떻게 영화에서 경제를 읽어낼까? 내용은 다르지만, 『영화로 만나는 치유의 심리학』을 재밌게 읽었던터라 좀 더 기대가 되었다.

 

무엇보다 이 책이 마음에 들었던 것은 몇 편을 제외하곤 다 최신영화였고, 본 영화도 많이 있고, 보진 않았더라도 이미 어느정도 내용을 알고 있는 영화도 많아서 재밌게 읽을 수 있었다. 예전에 영화를 볼 땐 그냥 그 내용의 재미를 위해 봤는데, 요즘은 의미있는 영화, 생각해볼 수 있는 영화가 좋은데, 이 책을 통해 미쳐 생각해보지 못한 부분들을 볼 수 있어 좋았다.

 

35편의 영화를 5개의 소주제를 가지고 이야기가 이뤄진다. <마당을 나온 암탉>을 통해 자연과 비슷한 자본주의를 설명했고, <완득이>를 통해 복지의 경제적 관점에 대해 살펴 볼 수 있었다. <아티스트>를 통해서는 경제대공항의 혼란을 이야기하기도 했고, 화폐의 시작을 <푸른 소금>을 통해 보여주었다. <제인 에어>로 보험의 역사를 바라볼 수 있었고, <내 아내의 모든 것>을 통해 외로움이 엥겔지수를 높인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도가니>를 통해 내부고발에 대해 알아볼 수 있었고, <화차>를 통해 복리가 얼마나 무서운 것인지 체감할 수 있었다. 그리고 캠코에서 신용회복업무를 도와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경선이 이것을 알았다면, 그런 인생을 살지 않을 수 있었을까?

 

영화 속엔 다양한 경제 이야기들이 숨어있었다. 그리고 그 이야기들은 [B컷 경제이야기]라는 뒷이야기를 통해, 좀 더 자세히 알 수 있었다. 경제는 인간의 삶에 적나라게 투영되고, 영화 속 이야기는 경제환경을 떠날 수 없고, 영화 속 인물들도 경제원리를 벗어날 수 없다. 모두 경제학에 의해 움직이는 것이다. 그 이야기를 지루하지 않고, 쉽고 재밌게 풀어내고 있는 책이었다.

 

+) 주간경향 인기 연재 칼럼 <영화 속 경제>를 책으로 출간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