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시창 - 대한민국은 청춘을 위로할 자격이 없다
임지선 지음, 이부록 그림 / 알마 / 201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시창, 시궁창이라는 단어가 떠오르긴 하는데, 어떤 의미일까? 궁금하다 읽게 되었다. 현실은 시궁창, 그래서 현시창이란다. 신문기사에서도 보다보면 이 사회가 제대로 굴러가고 있지 않다는 것은 느꼈기에, 내 현실도 시궁창이라고 느꼈기에, 책을 통해 우리 사회를 바로 보고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지고 싶었다.

 

어느정도 예상은 했지만, 그것보다 더 마음이 아팠다. 이 사회는 누구를 위한 사회인가? 누굴 위해 존재하는 사회인가? 이 사회가 이런 사회라면, 아프니까 청춘이라고 하지만 나는 이런 청춘이라면 버티지 못하고 살지 못할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현실은 내가 생각했던것보다 더 시궁창이었고 비참하고 비겁했다. 평등한 사회라고, 이제 선진국으로 도약하고 있다고 교과서에서 배우지만 우리 사회는 아직 대기업의 횡포는 여전했고, 그 속에서 개개인의 인권은 무참히 밟혀졌다. 신문기사 한쪽에 조그맣게 나오거나 이슈가 되어도 당장 내 일 아니기에 쉽게 잊혀져간 그 이야기들이 이 속에 있었다.

 

냉방설비 제작업체에서 등록금을 벌기 위해 알바하던 한 대학생은 대형마트의 고객이 될 수 없었단말인가? 고객 우선이라고 외치지만 그게 전부일까? 그냥 업체측의 잘못이라고 넘기기만 하면 되는것인가? 최소한의 안전장치만 있어도 일어나지 않았을 일인데, 자기들이 직접적으로 사용하는 본사 리모델링에 사용할 돈 일부만이라도 현장에 있는 노동자들에게 사용되었다면 이들의 아까운 목숨은 잃지 않았을텐데, 점점 비정규직은 늘어나고 있고 이들에게 더 힘들고 어려운 일들은 시키고 있지만 받는 대우는 어떤가?! 우리가 선진국이라고 OECD국가 중 몇위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고 하지만, 우리의 근무환경은 아직도 개발도상국에 머물러있는 것 같다. 세계 인류 기업이라고 광고하지만, 속은 그렇지 못하고 오히려 인권 후진국이라는 인상을 받았다. 사고가 발생해도 사고 당한 사람의 건강보다, 기계의 고장 상태만 확인 가능한 사회, 현실. 기업에서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건? 그런데 우리는 그런 기업에 들어가려고 지금도 매일같이 스펙을 높이려고 애쓰고, 공부에 매진하고 있다니 아이러니하기도 했다.

 

세상은 언제나 강자의 편이었고, 약자만 비참했다. 더 안타까운건 희생당한 이들은 착했고, 그 누구보다 성실하게 업무에 임했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놈의 돈이 문제였다. 어찌보면 대학등록금이 문제이기도 했다. 현실은 점점 경쟁사회로 내몰고 있고, 사람들은 물건을 찍어내듯 컨베이터벨트에 찍어나오고 있다는 느낌이 들었다. 명문대에 가지 못해 자존감은 바닥으로 떨어지고 한순간에 인생 바닥으로 내려가 부적응으로 묻지마살인까지 일으킨 일은, 성적, 명문대, 성공이 꼭 연결되어 있지 않은데, 학교에서는 연결되어 있다고 가르치기에 이런 일이 일어나는 것 아닌가 하는 안타까운 마음이 들기도 했다.

 

무기력의 대물림, 멋진 명함보다는 돈을 쫓아 일을 택한 이, 돈 없는 자는 공부도 제대로 할 수 없는 현실, 대출사기, 미혼모, 탈북자의 삶, 모난 엘리트 의식, 여성의 인권, 다문화 가정 여성 등 다양한 사회문제를 사건과 함께 풀어놓았다. 읽는 내내 불편할 수 밖에 없었고 난 행복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적어도 부모님이 계시고, 부족하지 않게 살고 있기에. 요즘 복지, 복지 외치고는 있는데 목표와 성과는 철저히 숫자로만 정리 되었고 차별은 계속해서 일어나고 있었다. 어떤 대안은 내놓지 않고 있었다. 우리 사회가 지금 이렇게 현실은 시궁창이라며 고발하고 있었다. 지금도 누군가는 어딘가에서 고통스러워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달라는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