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기진 인생, 맛있는 문학 - 생을 요리하는 작가 18인과 함께 하는 영혼의 식사
유승준 지음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삶과 문학은 한 그릇 밥에서 시작된다.

이 책을 읽으며 맛있는 음식에 허기질 줄 알았는데, 문학에 허기졌던 나를 보았다.

 

살다보면 때론 내가 먹기 위해 사는건지, 살기 위해 먹는건지 생각이 날 정도로, 밥은 우리의 삶에서 빠질 수 없는 것 중 하나다. 밥 힘으로 살아간다고 할 수 있으니까. 그러기 때문에 문학 작품 속에서도 많은 요리들이 등장하고, 그게 주 소재가 되기도 하고, 어떤 한 상황 속에 나오기도 하다. 처음 이 책 제목을 보았을 땐 이 책을 보며 맛있는 음식이 생각나 허기지면 어떻게 하지? 걱정을 했는데 그 걱정은 없었다. 오히려 읽을 수록 이 책 읽어보고 싶다. 이 의도를 느끼며 다시 읽어보고 싶다는 내 책 욕심만 키웠다. 

 

우리는 매일 누군가와 혹은 혼자 밥을 먹고, 무언가를 먹는다. 그렇기에 음식에 대한 추억도 각자 나름대로 가지고 있을 것이다. 나만의 이야기, 18명의 작가와 음식, 그리고 문학 이야기. 사람냄새를 밥냄새라고 표현해 놓을 만큼 어떤 냄새를 가지고 있는, 향기를 가진 이야기. 그 시대상을 나타내기도 하고, 지금의 직업이기도 한 이야기들. 18작품 중 내가 읽은 작품은 3작품 있었는데, 내가 그냥 읽을 때는 느끼지 못하고 알지 못하는 것들을 알 수 있었다. 주로 책을 볼 때 이 책이 말해주고 싶은 것이 무엇일까?를 보지 그 속에 나온 음식은 유심히 보지 않은 탓이기 때문이다.

 

음식 뿐만 아니라 문화가 바뀌고 있다는 것도 느낄 수 있었다. 예전엔 옹기종기 작은 방 둘러앉아 밥먹는게 일상이었지만, 요즘은 각각 밖에서 해결하는 날이 더 많다. 바쁘기 때문에 간단히 해결할 수 있는 음식들을 먹는 일도 많아지고, 혼자 먹는 일도 늘어나고 있다. 이제 돈을 제법 버는 사람이 되었지만 시간이 없어 누나가 해준 음식을 그리워 하고, 소설을 통해 과거의 옛추억을 회상하기도 한다. 그 느낌이 씁쓸하기도 했지만, 이 또한 우리의 생활에 달라질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책을 읽으실 분에게 추천하고 싶은 방법이 있다. 이 책 속에 나온 그 소설을 읽은 후, 이 책을 읽으면 어떨까? 하는 것이다. 읽는 내내 약간 '작가의 말'을 보는 느낌이었다. 책 내용도 많이 나왔고, 작가가 가지고 있는 생각들, 또 다른 작품들, 뭔가 연결고리가 되는 것들이 많이 나왔다. 그렇기에 읽으면서 안읽어본 나로선 빨리 읽어서 나도 좀 느끼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허기란 우리 삶에 대한 가장 거대한 은유다." (p.117)

 

삶이 담긴 문학은 갓 지어낸 밥처럼 따끈따끈한 김이 올라와야 한다.

그 김은 오랜 인생의 연륜이 뒷받침될 때 비로소 피어나는 법이다.

문학이 제조업이 아닌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p.3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