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담과 에블린 민음사 모던 클래식 57
잉고 슐체 지음, 노선정 옮김 / 민음사 / 201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일은 우리와 같은 분단국가에서 통일을 이루고 지금은 세계 강호의 나라로 잘 살고 있기에, 다른 나라보다 그 배경면에서 더 공감대를 형성해오는것 같다. 처음 <아담과 에블린>의 줄거리를 보았을 때, 지난번에 읽었던 <줄무늬 파자마를 입은 소년>이 생각났다. 분단국가의 아픔을 두 소년의 우정으로 담담하게 보여주었던 작품, 이 작품은 사랑이야기이기에, 어떻게 전개될지 궁금해졌다. 그리고 분단국가인 우리에게 전하는 메세지가 무엇을지도.

동독이라고 하면, 북한이 생각났고 왠지 못사는 나라였을거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아담에게 동독은 그런 나라가 아니었다. 재단사 일을 하면서 여자들을 상대하며 그녀에게 어울리는 옷을 재단해주었고, 로맨티스트이자 바람둥이였다. 그리고 그의 여자친구 에블린, 대학에서 자신의 꿈을 펼치고 싶었지만 현실 여건은 도와주지 못했다. 그래서 그녀는 서독에 가길 원하며, 그의 바람둥이 기질에 질려 40대 중반의 남성이 내미는 손길에 함께 여행을 떠난다. 아담은 에블린을 쫓아 동독을 떠난다.

 

동독을 떠나 서독으로 가기까지 아담과 에블린은 다투고, 여러 사람들을 만나고 그 사람들 개개인의 사연을 듣게 된다. 그 속에서 우정과 사랑, 배신과 질투 같은 감정들을, 그들이 가는 장소를 통해 그 시절, 분단국가여서 있었던 장소, 삶들도 볼 수 있었다.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을 뽑으라고 한다면 대화체라는 것이다. 그들은 대화의 연속이고, 나는 그들의 대화를 읽으면서 상황파악을 하고 내용을 이해했다. 대화체여서 좀 더 술술 넘어가기도 했다.

 

아담과 에블린은 고비 끝에 서독으로 가게 되고, 그곳에서 얼마 있지 않아 독일은 통일이 된다. 아담은 동독에서 인정받는 재단사였지만 서독에는 재단사 대신 공장에서 찍어내고 있었고, 그의 존재, 필요한 이유 또한 자연스레 사라져갔다. 화려했던 지난 동독을 그리워하게 되지만, 통일이 되면서 동독이라는 그곳마저 사라져버리게 된다. 에블린, 그리고 서독을 갈망하던 다른 이들은 서독에 가서 행복을 느낄 수 있었을까?

 

이 이야기를 보면서 탈북자들이 생각났다. 힘들게 희망을 품고 목숨걸고 탈북을 했지만, 막상 처해진 현실은 녹록치 않다. 이상과 현실은 다른 것일테니까 말이다. 독일의 통일 전, 후의 모습을 통해, 분단국가인 우리는 어떤 준비를 하면 좋을지, 진짜 행복은 어디에서 나오는 것인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