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부로 애틋하게 - 네버 엔딩 스토리
정유희 지음, 권신아 그림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12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이쁜 표지가 눈길을 사로잡는다. 낯설지 않은 느낌이었는데 <나의 작은 새>에서 그림을 그리신 분이다. 막상 책 크기는 다른 책과 다르지 않는데 가로로 되어서 다른 느낌을 준다. 제목도 <함부로 애뜻하게> 뭔가 <소란한 보통날> 이런 느낌이 들고, 이 책의 기대치는 커져갔다. 하지만 기대가 너무 큰 탓일까? 좀 아쉬웠다. 내가 아직 이 글을 100%로 다 소화하지 못해 그럴 수 있겠지만.... 일반적으로 말하는 사랑과 이별을 해보지 않았기에 공감하지 못한 것도 있겠지만. 에세이는 내가 공감하면 별 백개이고 공감하지 못하면 책 자체에 대한 흥미도 자연스레 떨어져버린다는 점을 감안하면 아쉽다. 공감대가 형성되지 못해서 -

 

전체적으로 추상적인 느낌이 강했다. 글을 읽다가 산문시 아닌가? 하는 느낌이 들 정도로 쉽게 쓰지 않고, 무언가에 빗대어 적거나 생각하며 읽게 만들어 놓아 낯선 느낌이 읽으면서 들었다. 이글들은 문화매거진<paper>에 연재했던 글과 그림들을 모은 책으로, 그림을 보고 글을 쓰기도 하고, 글을 읽고 그림을 그리기도 한 그런 책.

 

우리가 시간이 빨리 가고 싶다고 생각하든, 느리게 같음 좋겠다고 느끼든 시간은 일정한 속도로 흘러간다. 그것처럼 자연도 일정한 시간이 꽃이 피고, 진다. 시간이 흐른다는 표현을 자연을 빗대어 한 것이 좋았다. 나는 눈을 감았다 떴는데, 자연은 그들 나름대로의 속도로 바뀌고 있다.

 

우리의 인생을 플러스마이너스, 제로로 표현한 것도 좋았다. 꿈을 위해 시도했다면 이미 그건 플러스 인생이라고 한다. 이번 방학, 나는 꿈을 향해 한발짝 내밀려고 하는데 성공하지 못하더라도 본전인 것이니 플러스 인생을 기대하며 도전해보는거다!

 

이해하지 못한 글귀가 더 많았다. <함부로 애뜻하게> 이런 느낌처럼? 그래도 자기 전 한 두장 읽다보면 책 속의 일러스트와 글을 함께 보면서 어떤 연관성이 있을까? 상상의 나래를 펼 수 있고 눈은 즐거웠던 시간이었다. 끝나지 않는 이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