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화홍련전 빛나는 우리 고전 그림책 시리즈 1
강벼리 글, 한태희 그림, 권순긍 자문 / 장영(황제펭귄) / 2012년 3월
평점 :
품절


수능 끝남과 동시에 자연스럽게 멀어진 것은 우리의 고전 문학이었다. 서양고전문학은 어딜가든 필독서에 꼭 들어있는데 반해 우리의 고전은 어린아이들이 읽어야 하는 그런 책으로 인식이 되어있었다. 그러던 중 요즘 독서토론모임에서 우리의 고전문학을 한 달에 한 작품씩 이야기하면서 또 다른 재미를 맛보게 되었다. 내가 아이때는 느끼지 못했던 것들을 느끼고, 다른 관점에서 바라보게 되었는데 그것이 재밌다. 그러던 중 이 <장화홍련전>도 읽게 되었다. 예전에 공포영화의 제목이기도 했던 <장화홍련전> 다시 느껴보기 위해.

 

우리의 옛소설들이 그렇듯 계모같은 엄마아래에 착하디 착한 장화와 홍련이 지내고 있다. 서방님이 없을때만 못살게 굴기 때문에 아버지는 장화와 홍련의 어려움을 알지 못하고 결국 원한으로 인해 죽음에 이르게 된다. 원한을 품고 귀신으로 내려와 수령들은 줄줄이 죽고 백성들은 마을을 떠나고 이것이 억울하게 죽은 장화, 홍련의 혼 때문이라 생각하였고 그 원한을 풀어주게 된다. 그리고 다시 그들의 이름을 가진 아이들이 태어나 행복하게 살았다는 결론!

 

뻔한 스토리일 수 있는데 해설을 읽어보면서 새로운 사실들을 알게 되었다. 계모는 왜 장화와 홍련을 못살게 굴고 죽이기까지 했을까? 요즘 사회에서도 발생하는 일이지만 '재산'때문이었다. 그 당시에는 법으로 전 부인이 남긴 재산은 그 자녀가 결혼하면 나눠줘야 한다는 조항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결국 모두 사실이 밝혀져 계모와 그 아들은 처벌을 받게 되는데 아버지 배좌수는 처벌을 받지 않는다. 이는 아버지도 잘못되었지만 아버지의 지위는 보존되어야 하다는 사고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냥 읽었던 이야기의 배경을 알고 나니 그냥 나온 이야기가 아니라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사람들 사이에서 전해내려오는 이야기에 그 시대의 역사와 문화도 함께 녹아있었다. 요즘 한국현대소설을 읽다보면 지금 이것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어하는것 같은데? 이런 생각이 들때가 있다. 이것도 마찬가지인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대체적으로 이런 책들은 권선징악인데, 이를 통해서도 옛사람들이 하고 싶었던 말들을 생각해 볼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