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화로 먹고살기 - 경제학자 우석훈의 한국 문화산업 대해부
우석훈 지음, 김태권 그림 / 반비 / 2011년 8월
평점 :
문화는 왠지 필수재와는 거리가 있는것처럼 느껴진다. 문화생활을 즐기지 않는다고 불이익도 없고 문화는 여유있는자만이 누릴 수 있는 그런 것이라고 생각되어졌기 때문이다. 그리고 지금 문화경제를 배우면서, 새로운 시각으로 문화를 바라보게 되었고, 그러던 중 이 책과 만나게 되었다.
우리의 문화산업의 현주소는 어떨까? 요즘 기사들을 보면 k-pop돌풍과 함께 한류바람이 거새게 일어나고 있는것처럼 보여져, 우리의 문화산업 또한 발전하고 번성하는 중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런데 읽으면서 드는 생각은, 우리나라! 이렇게 열악했던가!였다. 올림픽 경기를 보다보면, 정말 실업팀 조차 없는 열악한 환경을 가진 종목에서 매달을 따는 모습을 보면서 대단하다는 생각과 함께 이들의 보이지 않는 노고에 감탄사를 내보이곤 했는데, 우리의 문화산업도 그렇다. 우리가 신경써야 할 것은, 우리 문화를 성공적으로 산업화하여 얼마나 수출할것이냐가 아니라, 생산자든 기획자든 문화를 직업으로 삼고 살아가는 사람들이 먹고 살 걱정 없이 살 수 있을까를 고민해야되지 않을까?
버라이어트쇼, 드라마, 출판, 만화, 영화, 연극, 음악, 스포츠의 현주소를 살펴보고, 이러면 어떨까?하는 대안들도 내 놓았다. 눈에 띄는 것들도 있었고 공감할만한 것들도 있었다. '88만원세대'의 저자답게 일자리 문제에 대한 이야기도 놓치지 않았다. 비정규직이 대다수였고 문화산업에 도전하고 싶은 20대는 많지만 그 길은 열악하고 너무도 좁았다. 다큐멘터리는 20대를 위한 돌파구였고, 영화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고등학생때부터 공부에 흥미 없는 학생들에게 카메라에 대해 알려주고 문화산업분야에 진출할 수 있게 해야하고, 애니메이션 발전을 위해 좀 더 내용있고, 체계적으로 구축된 환경이 갖추어져야 한다고 저자는 말하고 있었다.
문화 관련 일은 본질적으로 돈과 별로 상관 없는 것이었다. 그 대신 열정이 가득한 산업. 하지만 우리 사회는 그 열정을 빠르게 식혀버렸고, 지금은 후퇴의 길로 가고 있었다. 언론에서 들을 수 없던 이야기들을 들을 수 있었고, 현실에 대해 직시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