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의 숲에서 경영을 만나다 정진홍의 인문경영 시리즈 1
정진홍 지음 / 21세기북스 / 2007년 11월
평점 :
품절


 

이 책 어드메쯤 나오는 문장이다. 문사철(文史哲)에서 문학 역사 철학 모두가 시장을 읽는 거대한 심리학과 같다는 관점에서 이 책은 쓰여져 있다. 삼성경제연구소(SERI)의 메디치 21 이라는 강연회에서 다룰만한 내용이다. 이른 시간에도 불구하고 CEO가 500여명이 들었다고 하니 그 내용이 시장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문학을 읽는다는 것은 세상을 자세하게 관찰한 이야기를 작가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것이고, 역사는 그야말로 지난 시대를 살아온 사람들의 이야기를 교과서 삼아 오늘을 조명하여 볼 수 있는 것이고, 철학은 변화하는 시대에 따라 바르게 살아가는 삶의 원리를 찾아내는 학문이다. 이 문사철(文史哲)이 시장을 읽어내는 거대한 심리학이라는 저자의 관점에 동의를 한다. 저자는 이러한 관점에서 역사상에서 중요한 획을 그은 시대와 인물들을 언급하면서 이 시대에서 필요로 하는 적절한 주제 즉 창의성, 디지털, 스토리 등등의 소제목으로 세부적으로 풀어나가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현대사회의 병폐를 읽어내는 눈은 약했다. 아니 언급을 하지 않았다. 현대사회의 많은 사람들은 즉 대중들은 경험적으로 얻은 지식이 적거나 거의 없다. 즉 아이의 탄생과 같은 생명의 탄생을 경험하지 못하고 성장한다. 기껏해야 교과서적이고 병원에서 박제된 지식만을 접한다. 아픈 것을 참아내고 이겨내는 과정을 경험치 못하게 의사와 병원에 육체를 맡겨야 하는 시스템속에서 살고 있다. 늙어감도 죽는 것도 실질적이지 못하고 시스템속에서 추상적인 경험만이 있을 뿐이다. 적거나 거의 없는 경험적 지식을 가지고 있는 현대인들은 과거속에 철저하게 온 몸으로 경험한 생생한 사실들을 기록한 인문학에서나마 간접적으로 경험하라고 저자는 이야기한다. 이 역시 경험적인 지식이 아니고 교과서적인 지식일 뿐이다.


  그래서 현대인들은 오감의 불균형의 시대 즉 시각(visual)의 우위 시대에 살고 있기에 입체적인 사고가 결핍되어 있다고 저자는 이해하고 있다. 과거의 사람들 아니 40대중반 이후의 사람들중에 아날로그세대 사람들은 <감각의 따로국밥>이고 디지털 신세대들은 <감각의 섞어찌개> 라 표현하였다. 신세대들은 한정식과 같이 음식하나하나의 맛을 즐기기보다는 햄버거와 같은 통합된 음식을 선호하는 흐름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여기에 마셜 맥루한의 “ 미디어는 인간의 확장 즉 인간감각의 확장”이라는 말도 연장선상에 있다. 바로 여기에서 시장확대의 포인트를 찾으라는 저자의 주문이다.


 이 책은 시장을 읽어내고자 하는 회사를 경영하는 리더들을 위한 책이다. 다수 대중들의 심리를 파악하고 상품에 인문학의 원리를 적용하여 물건을 많이 팔라고 주장하는 책이다. 문사철을 장사의 논리에 적용하여 보자는 책이다. CEO를 위한 또 그 하부구조를 지탱하고 있는 회사원들의 입신양명을 위한 책으로는 권할 만한 책이 아닌가 싶다. 이 책에서는 진정한 리더를 언급하지만 경영을 위한 또 시장을 읽기위한 방편으로만 기술된 듯 느낌이 있어 아쉽다. 소비자와 같이 하는 진정한 리더를 언급하기에는 이 사회가 자본에 너무 편향되어 있어 저자가 부담을 받았을 것이다. 그래도 한 개인의 인생경영의 인생지침서로 필요한 것들이 많다. 이 책을 읽으면서 기억하고 싶어지는 몇 문장을 언급하면서 글을 마무리 한다.


-한 사람이 천하를 다스리는 것이지 천하가 한사람을 받드는 것이 아니다.-강희제_


-마이크로소프트사는  실패를 장려하고 실패의 이력을 중시한다. 실패를 경험하지 못한 사람은 성공할 수 없다.

-400년 이전의 고전(古典)을 읽어라


-5살 어린이의 호기심이 창조하는 마음의 시작이다.


- 미래는 제5의 산업 즉 mind industry 가 주가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