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주인이라고 누가 그래요? - 게으른 농부 이영문의 자연에서 일군 지혜
이영문 지음 / 한문화 / 2007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사람이 주인이라고 누가 그래요?

  자그마한 화단이 있는 집을 가지고 있습니다. 감나무와 앵두나무 목련를 비롯하여 하늘매발톱, 참나리, 꽃마리등 근 100여종의 식물이 자라고 있습니다. 잡초라 하는 꽃마리, 제비꽃, 바랭이등도 화단의 한 구성원으로서 과도한 번식만 하지 않으면 적당히 내버려둡니다.

 

 서로 얼기설기 그렇게 오순도순 살아가라는 의미에서 말입니다. 그렇게 몇 년을 살다보니 화단에 꽃종류만 있는 것이 그렇게 부자연스럽게 느껴질 수가 없었습니다. 자연적으로 놓아두면 꽃종류들이 망초와 같은 잡초(?)와 경쟁하면서 보다 싱싱하여지기 때문입니다. 어느 한 종이 너무 무성하여지면 사람욕심으로 제거를 합니다. 그래도 꽃종류나 나물종류가 무성하여지면 웬만해서는 내버려두지만 잡초가 무성해지면 나의 손길은 가차없습니다. 잡초에 대한 편파적인 나의 손길을 보면서 이기심에 나도 놀라게 됩니다. 밤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지만 자꾸만 낮의 길이를 연장하고 싶은 마음과 같다고나할까요. 

 

 그렇게 도시의 밤은 자정이 되어서야 비로서 서서히 밤으로 돌아갑니다. 관행농법은 낮이 계절에 따라 3~6시간이나 연장되어야 하는 도시문명과 꼭 닮았습니다. 밤의 중요성을 3~6시간 빼앗는 것이지요. 모든 기존의 관행농법 즉 비료와 농약을 사용하는 농사는 점점 땅의 힘을 뺏어갑니다. 과학농법이라고 하는 것이 화학농법이고 바로 지구를 약탈하는 약탈농법인 것입니다.  현대 도시문명사회는 사람이 지구의 주인인듯  살아가고 있습니다. 사람만이 잘 먹고 잘 살면 된다는 방식으로 도시생활이 이루어지고 그 도시민의 근거를 마련하는 농법이 바로 화학농법인 것입니다.


 그러한 문명이지만 그래도 농사만은 제대로 지어야 한다는 농민이 있습니다. 바로 태평농법을 개발한 이영문이라는 사람입니다. 6헥타아르의 벼농사를 혼자서 씨뿌리고 수확을 합니다. 그 것도 단 하루만에 ...적어도 이책을 보면 그렇습니다. 1만8000평(6헥타아르)을 200평을 한마지기로 하면 환산하면 90마지기농사 입니다. 비료 농약을 하나도 치지 않는다고 합니다. 2004년 마지기당 전국 쌀  평균 생산량을 대입하여보면 약 500가마를 생산하고 벼로 계산하면 1000석은 나오는 대농입니다. 이모작을 하니 역시 겉보리 2004년 전국 평균기준으로 하면 337가마를 생산합니다.


  이 사람의 농법으로 생산되는 양도 대단하지만 이 농법이 갖은 의미에 귀 기우리다보면 사람도 역시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 답이 보입니다. 예방접종과 수시로 병원에 들락거리면서 양약을 먹고 바르고 째고 수술하는 양의학은 체력을 약탈하는 약탈식 화학농법과 다를 것이 없습니다. 살아있는 땅에 볍씨를 직파를 하면 태풍이 불어도 쓰러지지 않듯이 건강한 부모에게서 태어난 아이가 비료농약범벅이 되지 않는 먹거리를 먹는다면 병원에 갈 일이 없는 것과 같습니다. 혹 병이 나더라도 좋은 먹거리만으로도 질병을 치료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자연과 더불어 건강한 긴장관계로 살아가야 하는데 사람이 주인인양 행세하는 현대문명을 저자는 안스럽게 봅니다. 잘못된 방식으로 농사를 짓다보니 좋은 씨앗이 사라지고 있는 것 역시 안타깝게 보고 있습니다. 이 책을 보면서 사람에게도 불임율이 17%으로 올라가는 것이 좋은 씨앗이 사라지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토양(몸)이 잘못되었고 씨앗(비활동성 정자와 난자)이 잘못되고 있는 현대문명은 이 땅에서 사람이 주인이 아니라는 것을 조만간 환경재앙으로 입증할 지도 모릅니다. 이 책의 서평을 쓰면서 문득 <도둑맞은 미래> 라는 책과 <침묵의 봄>이라는 책이 같이 떠오릅니다.

이글은개인블러그에도 같이 실려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