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아이를 삭제할까요? 도넛문고 10
김지숙 지음 / 다른 / 202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제본으로 받은 이 작품은 파란 나라라는 아이들기 살기에 최적화된 환경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고도로 발달한 사회인듯 로봇들이 힘든 일이나 어려운 일들을 대신 해주고 아이들은 그저 부모님과 함께 행복하게 살기만 하면 된다. 그런데 이런 완벽한 모습이 오히려 더 부자연스러운 느낌을 줄 때가 있지 않은가? 바로 이 작품을 읽은 나의 첫인상이 바로 그러했다. 단순한 서술 속 파란 나라는 완벽한 듯 하지만 마치 잘 짜여진 그림같은 그런 공간으로 여겨졌다. 생동감이 넘칠 것 같지만 오히려 답답하다는 인상을 주는 역설적인 분위기로 인해 나는 읽는 내내 이질감이 들었다. 뿐만 아니라 서술된 표현들 역시 나를 혼란스럽게 만들었다. '설정', '프로그램', '개발자'등은 마치 IT산업 종사자들이나 쓸 법한 단어들이기에 작품을 읽는 중간중간 계속해서 기시감을 느낄 수 밖에 없었다. 아니나 다를까 이 작품은 실제로 가상으로 아이를 키우는 부모들에 대한 이야기였다. 가상으로 아이를 키운다니...? 섬뜩하기도 하고 게임 캐릭터를 생각하면 어느정도 이해가 되기도 하다. 이러한 파랑 나라의 비밀을 파헤치는, 탐정이 꿈인 파랑이의 추리를 따라가다보면 새롭게 드러나는 사실들에 책을 쭉쭉 넘길 수 밖에 없었다. 작품에서 전달하는 메시지 중 눈에 띈 것은 아이들의 세상을 아이들이 결정하지 못하는 역설적인 상황에 대한 비판이었다.

아이들에게 꿈을 정하라고 강요하는 선생님으로서 아이들의 목소리를 무시하며 있던 것은 아닌가

나에게 조용히 묻는 계기가 되었다. 작품 속 어른들처럼 아이들이 할 수 있는 직업의 범위를 정해두고 아이들이 의견을 무시하는 것이 옳지 않다는 것을 우리 사실 명백히 알고 있다. 어른들이 아이를 위한다는 명목으로 정해주는 삶의 방향 속에서 진정으로 중요한 가치들을 놓치고 있다는 생각이 나를 속상하게 만들었다. 진정한 존중과 사랑은 아이들의 목소리에 귀기울이는 것에서 시작한다는 것을 우리 어른들은 늘 기억해야 하지 않을까..? 그래서 나는 이 책이 청소년 소설이지만 내 주변의 성인들에게 추천하고 싶다. 교사나 학부모님이 이 소설을 읽는다면,

아이들은 독립된 존재이며 우리의 소유물이 아님을, 그렇기에 존중하고 이해해야 함을 확실하게 깨달을 수 있을 것이다. 작품 속 우주, 우령이는 어쩌면 이기적인 어른들로 인해 고유의 삶을 잃어버린 피해자들이기에 이러한 아이들이 현실에서 있지 않게 하려면 아이들도 어른과 동등한 위치에서 그들의 목소리를 내고 이를 어른들은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또한 작품을 읽고 난 후 나는 우리가 불완전하기에 함께 살아가는 것이 아닐까 생각했다. 우리가 그 자체로 완벽한 존재라면 굳이 타인과 어울려 살아갈 필요가 있을까? 불완전한 인간은 가끔 잘못된 선택을 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렇기에 주변에 도움을 받고, 본인을 보완하고자 노력하는 삶을 살게 된다고 생각한다. 만약 소설 속 어른들이 이런 점을 인정했다면 우령이는 계속 파랑이와 함께 즐겁게 클 수 있지 않았을까? 주변의 도움이 있었다면 우주는 더 안전한 환경에서 마음 놓고 자랄 수 있지 않았을까? 라는 생각에 마음이 아팠다. 가볍게 읽기 시작했으나 의외로 내게 많은 생각을 안겨 준 소설임은 틀림없다. 청소년소설은 이 작품처럼 가끔은 어른들에게 더욱 큰 가르침을 준다는 생각이 든다. 이제 마지막으로 인상깊었던 구절을 하나 꼽으며 글을 마친다.

참고로 진짜 제목은 <이 아이를 삭제할까요?>이다.

*다산 출판사에서 서평단으로 제공받아 읽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