밑줄 긋는 남자
카롤린 봉그랑 지음 / 열린책들 / 1994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참 재미있는 소설이었다.
그리고 그 구성이 신선했다.
그러나 그 결말은 뜻밖이었다.
그것은 내가 이 책은 추리소설과 연애소설로서 읽었기 때문일 것이다.
이 책은 책에대한 사랑을 쓴것이란다.
책을 읽는다는 것, 소설을 읽는다는 것이 무엇인가에 대해서.

내가 영 다르게 읽어서, 처음에 몰랐었는데,
다른 소설들을 읽고 있자니 그 말이 떠올랐다.
'책을, 소설을 읽는다는 것…'
이것은 적어도 나의 경우에는 거창한 표현을 최대한 줄이고 얘기해도,
바로 사랑하는 것이고, 삶을 살아가는 것이다.
그것도 최고로 멋있게 살아가는 그것이다.'

책을 읽을때(요즘은 거의가 다 소설이지만) 나는 새로운 세계를 경험하게 되고, 그 소설 속의 인물들을 좋아하고, 안타깝게 여기기도 하고, 때론 증오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은 사랑이다. 즉, 난 책을 읽으면서 사랑을 하게된다.

콩스탄스는 그러한 사랑을 현실에서도 얻게되는데, 이것은 꼭 책을 읽는 것에 의해서 우연히 만들어진 현실의 연애라할지 모르지만, 내게는 그것 역시 책을 읽는 바로 그 행동으로서의 사랑의 연장이라고 생각된다.

음, 이제 책읽기를 시작하고 있는 나로서는 너무 거창하고 건방진 소리일지 모르지만 말이다.

요즘의 나는 책을 읽을 때, 첫사랑에 들뜬 소녀처럼 가슴이 뛰고, 하루라도 만나지 못하면 그를 간절히 그리워하는 열병이 일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