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무의식의 방 - 프로이트와 융으로 분석한 100가지 꿈 이야기
김서영 지음 / 책세상 / 201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사람은 바뀌지 않는다는 말을  믿지 않는다. 바뀌지 않는 게 아니라 바꾸지 않는 거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나조차도 어린 시절부터 철저하게 몸에 밴 무의식 속의 나를 바꾸긴 어렵다고 생각한다. 때문에 난 나조차도 어쩔 수 없는 나의 성격을 인지하고 있지만, 바뀌지 않는 것 때문에 스트레스 받지 않으려 하며, 외려 이를 잘 활용하여 세상에 적응해야 된다는 마음가짐으로 살아간다. 그런데 갑자기 이 책은 서문에서부터 이런 나를 깨버린다. 기능형 인간이 욕망형 인간이 되었다는 믿을 수 없는 경험을 얘기하며 꿈에 그 열쇠가 있다며 독자를 유혹한다.


그렇게 한껏 기대를 하게 만들어놨지만 정작 읽었을 때의 느낌은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다. 다시 말해, 우리가 책을 읽을 때 우리가 아는 만큼 읽히고, 이미 내가 가지고 있는 배경지식의 틀 안에서 읽혀지는 것처럼, 꿈 역시 개인이 생각하고 싶은 방향대로 해석된다는 것이다. 결국 작가의 해석은 스스로가가 만든 '나'라는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느낌이다.


하지만 비록 그럴지라도 작가의 시도는 기록되어지고 다른 이들과 공유될 가치가 있었다. 내가 생각하고 싶은대로, 내가 믿는 나라는 모습대로 나의 꿈을 해석하게 될 것이고, 그러한 나를 깨지 않는 한 나는 변하기 힘들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라는 사람에 대해 더 알고 싶어하고, 진짜 나를 찾기 위해 나를 의심하는 자세, 끊임없이 나 자신을 타자화하고 탐구하는 자세, 그리고 변화하려는 열정과 실천 이 모든 게 합쳐져 결과적으로 나라는 틀을 깨고 변태한 지금의 작가를 느낄 수 있었다.


여기서 중요한 건 정신분석과 분석심리의 차이다. 작가가 정신분석만 고집하였다면 그러한 변화를 겪을 수 없었을 것이다. 작가가 서문에서 밝히듯이 정신분석은 현재와 과거의 나를 진단한다. 하지만 온전히 분석하기보다는 꿈속 상징들을 '나의 언어'로 분석을 하기 때문에 내가 생각하는 '나'가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에 따라 분석결과가 달라진다. 긍정적으로 나를 바라본다면 악몽을 꾸더라도 꿈속 상징들에서 긍정적인 면을 발견하게 될 것이고, 부정적으로 나를 바라본다면 좋은 꿈 속에서도 나쁜 면들을 찾게될 것이다.


반면에 분석심리는 꿈속 상징들을 나의 언어가 아닌 신화와 연결시켜 해석한다. 신화는 비극적 신화도 있지만 결과적으로 의미하는 바들은 인간에 대한 긍정적인 해석이 주를 이룬다. 이 때문인지 작가의 분석심리학적 분석은 긍정적인 미래에 대한 기대로 끝을 맺는다. 이러한 정신분석학과 분석심리의 차이가 빚는 해석의 극명한 차이, 그리고 이를 통해 이끌어내는 종합적 의견을 읽다 보면, 꿈보다 해몽이라는 느낌을 받는다. 만일 작가가 분석심리학을 만나지 않았다면, 스스로를 바라보는 부정적인 시각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힘든 삶을 살았을 수도 있었을 것 같다. 작가 본인도 이를 느꼈기 때문에 분석심리가 자신의 인생을 바꿨다고 언급했던 것일게다. 그럼 이러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해몽이라면, 그 해몽을 믿어도 되지 않을까하는 생각이다.


그렇다고 꿈만이 답인 것은 아니다. 무의식적인 글쓰기, 무의식적인 춤, 내가 모르는 나에 대한 타인의 말을 듣는 것 등 사실 들으려고 주변을 둘러보면, 나의 무의식을 엿볼 수 있는 것들이 많이 있다. 어쩌면 작가가 한 것은 꿈의 해석이 아니라 잘 듣는 연습을 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작가는 10년 동안 '나'가 아닌 나의 무의식이라는 '타인의 말'을 듣는 연습을 한 것이다. 사실 나를 객관적으로 잘 보는 이는 '나'가 아닌 '타인'이고. '나'를 알려면 내가 생각하는 나와 다른 '타인의 말'을 들어야 한다. 이 지점까지 다다르고 나니 어쩌면 꿈은 정신분석과 분석심리에서 말한 것과는 다르게, 내가 들으려 하지 않았던 타인의 말들을 무의식이 다시 들려주는 걸지도 모른단 생각이 든다. 실제로 작가가 꿈을 분석한 내용들을 읽어 보면 다 어디선가 들어본 말들이다. 그 말들은 다름 아닌 친구기 친구에게 건네는 조언들이었다. 작가는 타인과 교류할 시간적 여유가 없었기에 이 점에 대해선 생각하지 못했을 것이다.


나는 그 전까지 남의 말을 안 듣고 살아왔다. 그러다 내가 부정했던 타인의 말 중 단 한 명의 타인의 말들이 계속 머리를 맴돌다 어느 순간에 그 사람의 말이 맞다는 걸 깨닫게 되었다. 그때부터 난 비로소 타인의 말을 듣기 시작했고, 그 시점 이후로 난 변할 수 있었다. 작가도 결국 타인의 말을 듣지 않다가 작가가 믿게 된 융이라는 학자와 그에 정통한 이부영 선생을 만나 비로소 타인의 말을 듣게 되고, 그때부터 자기자신을 제대로 볼 수 있게 되어 바뀔 수 있게 되지 않았을까?


우연히 친구들로부터 그들이 좋아하지만 연애에 성공하지 못한 남자들에 대한 꿈 얘기를 들었다. 그들은 공통적으로 꿈 속에서 그 남자와 현실에선 해보지 못한 연애를 하는 꿈을 꿨다고 했다. 너무나 명백한 꿈. 분석심리학적으로 분석하면 연애에 성공할 꿈이어야 하는데, 그들은 연애에 결국 성공하지 못했다. 정신분석학적으로는 그들의 욕망이 은유적으로 나타나야 하는데 너무 대놓고 나타났다. 난 이런 사례들을 보며 이분법적인 사고의 오류를 인지하고, 꿈을 분석하는데에도 정신분석학적이나 분석심리학적 방법이 아닌 다른 방식도 있겠단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