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늦기 전에 들어야 할 임종학 강의 - 아름다운 삶을 위한 죽음 공부
최준식 지음 / 김영사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당하는 죽음에서 맞이하는 죽음으로

 

생명이 있는 한, 그 끝엔 분명히 죽음이 있다. 그리고 죽은 자는 말이 없다. 그래서 죽음을 겪은 소감이나 상황을 들을 수도 볼 수도 없다. 이 책은 함부로 정의내릴 수 없어 막연하고 두려운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저자는 모두가 서게 되는 죽음의 문 앞으로 발버둥치며 끌려가기보다는 담담하게 직접 문을 열며 대면할 실질적 방법과 마음의 자세를 전한다.

 

*목차

1: 말기 질환 상태에 들어가면서

2: 말기 질환을 대하는 자세

3: 임종 직전에 환자에게 나타나는 현상과 대처 방법

4: 고인이 임종한 뒤 가족이 해야 할 일

5: 사별의 슬픔을 극복하는 문제에 대해

 

책의 구성은 말기 질환을 맞이한 환자의 죽음 그리고 남겨진 가족들의 슬픔극복으로 마무리된다. 저자는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한국학과의 교수님이신데, 강의를 듣는 듯한 구어체로 쓰여져 술술 책장을 넘길 수 있다.

 

책을 통해 유언장에 들어가야할 내용과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임종에 가까워진 환자들의 신체적 현상과 혼의 방문 등 내가 몰랐었던 내용들에 대해 알 수 있었다. 책은 말기 질환 환자들 즉 노인의 죽음을 중심적으로 다루지만 사고사로 갑작스러운 죽음을 겪게 된 이야기도 등장한다. 때문에 죽음이란 수십년 후 병에 걸린 뒤 다가오는, 아직은 나와는 먼 얘기인 듯 싶었다. 하지만 당장 내일이라도 겪을 수 있겠다는 두려움도 들었다. 사실 대학생인 나에게 죽음은 쉽게 받아들이기 힘든 부분이다. 하지만 나이를 좀 더 먹은 사람들의 인식도 다르지 않을 것이다. 실제로 저자는 한국인들은 유독 죽음에 대한 외면과 부정 그리고 혐오를 크게 나타낸다고 지적한다. 죽음을 마냥 피하다가 맞닥뜨리고 겪게 되는 혼란을 줄이는 방법 단 한가지. 바로 '죽음에 대한 공부'.

 

*죽음을 준비하는 것은 죽음 자체를 준비하는 데서 끝나지 않고

삶을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하는 문제로 돌아옵니다.

좋은 죽음을 맞이하기 위해서는

좋은 삶을 살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유언장은 법적 효력이 있게 작성하기.

연명치료로 무의미한 비용,시간 낭비보다는 진통제로 고통을 줄여주기.

환자의 말기 증상을 알고 이해하며 다독여주기.

임종의 때에는 목놓아 울기보다는 고인의 아직은 따뜻한 손을 잡고 혼을 달래주기.

사별 후 남은 가족들은 혼자 이겨내려 하지 말고 센터 등의 도움을 받기.

 

죽음을 위해 이렇게 알아야하고 준비해야할 일들이 많다. 내가 가장 감명깊었던 부분은 자신의 장례식을 기획하라는 조언이었다. 나의 장례를 위해 모인 조문객들에게 나를 추모할 영상이나 전시할 유품 등을 직접 준비하는 것이다. 내 이승생활의 마무리인 장례식까지 설계하는 것만큼 좋은 마무리가 또 있을까.

하지만 저자는 가장 중요한 것은 삶의 내용물을 알차게 채워나가는 것임을 강조한다.

 

*'죽는다' 대신 저는 '몸을 벗는다'는 표현을 좋아합니다.

우리가 말하는 죽음은 단지 몸을 벗는 것에 불과하다는 것이지요.

 

"이번 생, 잘 살았다."

홀가분하게 몸을 벗게 되는 나를 그려보았다.

 

웰다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최근 트렌드에도 부합하는 <임종학 강의>.

나의 죽음과 그리고 그 전까지 내 삶을 어떻게 채워나갈 것인지 고민해보는 계기가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