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 경험이 모두 그러하듯, 수용소 경험을 통해 우리가 배운 가장 가치 있는 것은 이렇게 사회에서 통용되던 거짓된 가치관을 버리고 공통의 인간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는 점이다. 마침내 우리는 이웃 사람을 보면서 그가 무엇을 소유했는가가 아니라 그가 어떤 인간인지와 관련하여 볼 수 있게 되었다. p.60

뭐든지 '일상으로 만들어 버리는' 인간의 성향에 대해 깊이 생각하다가, 나는 이런 자질이야말로 인간에게 주어진 축복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3개월 전에는 극심한 공포였던 현실을 이제는 감정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니, 얼마나 다행인가. 지금은 누릴 수 없는 과거의 편리에 대해 이렇게 금방 잊을 수 있다니, 얼마나 축복인가. 무엇보다도 참고 견디는 법을 배워야 했던 이 거친 삶이 그래도 계속되리라고 받아들이고 있으니 얼마나 다행인가. 분명히 이런 자질 덕분에 인류는 그 숱한 역사적 비극속에서도 평정심을 잃지 않고 살아남을 수 있었다. p.103

지금 이 삶과는 비교할 수 없지만 요즘 우리도 조금은 비슷한 상황에 놓여있다. 코로나19는 스스로 우리로 하여금 자가격리를 강요했고 나도 어쩔 수 없이 10여일간 원래의 일상에서 벗어나 하는 일 없이 빈둥거리며 시간을 그야말로 죽이고 있다. 원래 집순이기도해서 답답해하지 않고 잘 지내고 있지만 처음 1주일은 하던 운동도, 도서관이나 스타벅스에서 해왔던 독서도 일단멈춤 상태이다보니 언제까지 이렇게 심란하게 보내야하나 싶었더랬다. 그런데 지금은 그럭저럭 안정감를 찾아가고 있다. 이번 일로 어제가 오늘이고 오늘이 내일 같은 다람쥐쳇바퀴같은 일상이 얼마나 감사한 것이었는지, 사람들과 밥 한끼 차 한잔 하는 일이나 전시회, 영화관 가는 일상이 얼마나 호사로운 일이었는가 깨닫게 되었다. 또 이 견딤의 순간순간이 지난 시간을 되돌아 보는 반성의 시간과 함께 내가 한층 더 나은 인간으로 발돋음하는 계기가 된 건 아닌가,,라는 의미부여를 억지로 하게 하기도 했다. 아직은 끝나지 않은 상황..탓하기보단 최대한 사망자가 나오지 않고 잦아들기를 다 같이 한 맘이 되길 바래본다.

분명한 것은 인간은 스스로 믿는 것만큼 그렇게 도덕적이지고 합리적이지도 않다는 사실이었다. 너무도 자주 나는 인간의 지성과 관념이 모두 자신의 전체적 자아의 도구역할을 하는 것을 목도했다. 또한 이 전체적 자아는 오로지 자신의 복리에만 신경쓸 뿐 이웃을 존중하거나 공정하게 대할 자유는 없는 것 같았다.
현재와 미래에 닥칠 위험을 감지했을때 삶의 모든 우발적 사건들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재빨리 움직인 것은 다름 아닌 놀란 우리의 영혼이었다.
우리의 진짜 자아가 가지는 근본적인 이기심이었다. 이 이기심은 우리 개인의 생각과 행동 저 깊은 곳에서 행위를 결정하고 방향을 정한 다음 일상생활에서 늘 목격되는 그런 실재적인 잘못된 행동으로 우리를 끌고 간다 p.

실제적인 업무에 능숙한 사람들은 그들이 보기에 삶의 현실적 문제와 상관없어 보이는 도덕심이나 양심같은 문제에 에너지를 쏟는 도덕가나 종교인들을 우습게 보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나의 경험이 여실히 보여주듯 이런 실재적인 일이 삶에 필수적인 것은 사실이지만 이 일들이 공동체의 협력정신에의해 나오지 않는다면 아무 유익이 없다. 영적이고 도덕적인 문제는 삶의 주변에 있는 문제가 아니라 매일의 노동의 세계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문제다. p.322

경험이 아니라면 공감을 통해서라도 물질적으로 궁핍한 것이 얼마나 힘든 것인지, 그래서 물질이라는 것이 얼마나 가치있는 것인지를 이해하는 사람만이 삶에서 정말로 영적인 문제가 무엇인지를 알 수 있지 않을까? 내가 깊이 확신하는 바와 같이 최고의 영적수준이란 이웃의 삶에서 필요한 물질들이 채워지기를 바라고 구하는 것이 아닐까 왜냐하면 이웃이 필요로하는 물질을 주는 것이야말로 사회적 관계에서 네 이웃을 사랑하라는 말을 가장 잘 실천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p.448

완전 공감한다. .이 글을 읽자니 예전에 어떤 목사님이 하신 말씀이 생각난다. 누군가가 경제적 궁핍으로 힘든 상황에 처해있을 때 우리 기독교인들은 그들을 위해 주님이 채워달라는 기도를 한다고. 본인들이 직접 도움을 줄 생각은 안 하고. 맞다. 이게 우리 기독교인들의 현실이다. 나만하더라도 이 문제에 자유롭지 못하다.죄책감은 있어서 그들을 마주보지도 못 하고 그냥 외면해 버리는 것이다. 그리고 잊어버리는 것이다. 앞으로 요즘의 전 지구적인 바이러스 문제로 경제적 궁핍에 힘들 사람들이 부지기수로 늘어날 전망이다. 우리는 어떻게 어떤 맘으로 나아가야 할까?

수용소 경험은 인간에 대한 두가지 사실을 선명하게 보여주었다. 하나는 인간은 새로운 문제에 직면했을 때 대단히 창조적이고 천재적이며 용감하다는 사실이다. 하지만 동시에 다른 한 가지 사실은 인간은 압박의 상황에 놓이면 어느 때보다 자신과 자신의 소유를 사랑하게 된다는 사실이다.
수용소 생활이 깨닫게 해준 것이 또 한가지 있다.인간의 도덕성과 비도덕성은 우리 생명의 가장 심오한 영적 중심으로부터 나온다는 사실이다.....모든 사람은 이런 영적 중심을 다 가지고 있다. 이 영적 중심을 통해 행위의 목적과 의미를 얻으며 그래서 존재의 일관성과 방향을 얻게 된다. p.451

라인홀드 니버가 말했듯 다른 사람을 부당하게 대우하는 것은 내면의 우상숭배 (자기자신, 자신이 속한 그룹 숭배) 가 사회적 결과로 드러난 것이다.
그렇다면 이것들은 종교적 의미에서 죄라 할 수 있다.
죄란 유한한 대상에게 궁극적인 종교적 헌신을 하는 것이라고 정의 될 수 있다.
즉 죄란 자아와 자아의 실존 또는 자아가 속한 집단에 최우선적인 관심과 헌신을 기울이는 것이다.
p.455

요즘 내가 가장 자주 고민하고 있는 부분이 바로 요 문제이다. 내가 하고 싶은 것, 보고 싶은 것에 중점을 두고 살고 있다보니 좋긴하면서도 맘 한 구석편엔 종교적 가르침과 일치하는 삶은 아니기 때문에 불편한 부분이 있다. 그래서도 100프로 자유롭진 못하다. 작가는 궁극적 관심이 안으로만 집약될 때 우리 관심밖에 있는 것들에 대해 비인간적으로 되기 싶다고 말한다. 상당 부분 동의한다. 그래서도 나도 고민하고 있고. 작가는 해결 방법으로 삶의 의미와 안정성의 중심을 자신의 생명에 두는 대신 하나님의 능력과 사랑안에 두라고 말한다. 말이 쉽지 이 부분도 대부분의 크리스천이 고민하고 힘들어 하는 부분이다. 이게 쉬웠다면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는 지금 보단 파스텔톤의 세상이 됐을텐데. 죽는 날까지 하나님 앞에 나아가 주님앞에 나, 나의 미래, 고통의 문제를 모두 내려놓고 주님안에 앉아있는 것 그럴 때 내 맘 만지시는 주님의 인도 따라 순종하는 것, 이런 삶을 사는 날이 빨리 오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