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한 정상가족 - 자율적 개인과 열린 공동체를 그리며
김희경 지음 / 동아시아 / 2017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아이들이란 얼마나 귀한 존재인지. 내가 더 이상 아이가 아니기 시작한 때부터 어떻게든 나의 뒤에 오는 이들에게 누가 되지 않으려 노력했던 것 같다. 조금 더 나은 세상을 주고 싶어서 그애들이 살아갈 세상에 대해 고민하고, 그들이 자라서도 그들의 다음을 위해 고민할 수 있도록 보다 넓은 세상을 보여주기 위해 힘썼다. 하지만 내가 최선을 다했던 것과는 별개로 나의 선의가 소수의 행운아들에게만 닿았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 어느 정도는 경제적 여유가 보장된 가정에서 태어난 아이들이 아니라면, 공교육 외의 다양한 교육 현장에 참여할 기회를 갖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니까.

김희경의 <이상한 정상 가족>은 한국의 아동 복지 및 가족 정책 현실이 얼마나 구체적으로 엉망인지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러나 단순히 수많은 아동 학대 사건을 다루기만 하는 책은 절대 아니다. 책은 압축된 근대화 과정에서 사회 안전망을 구축하는 데 실패한 우리 사회가 어떤 방식으로 망가져 가고 있는지를, 공동체의 시작인 가족을 통해 들여다본다. 그리고 그 모든 구조적인 문제가 수많은 사회적 약자들을 거쳐, 최종적으로 가장 힘없는 아이들을 어떻게 짓누르게 되는지를 분석한다. 사회가 나누어 져야 할 짐을 가정이 전부 떠안은 현재의 우리나라에서는 가족에 대한 논의가 사회 구조에 대한 담론으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 그러니 이 책은 저출생, 양극화, 타자 혐오, 아동 학대 같은 사회적 문제의 근원이 무엇인지를 성찰한 대한민국 사회에 대한 총체적 보고서라고 할 수 있다.

돌봄과 양육에 대한 의제는 여성주의 담론에서도 많이 접하게 되는 터라 나는 나름 이 의제에 대해 잘 안다고, 친숙한 편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 책을 읽으며 내가 그동안 얼마나 피상적이기만 한 화를 내고 있었는지 깨닫게 되었고, 나의 경계 안에서만 사유하고 있었다는 사실이 무척 부끄러워졌다. 나는 임신 중절권에 대해서는 제법 논리적인 주장을 할 줄 알았지만, 출산을 선택한 미혼모가 아이와 어쩔 수 없이 이별해야 하는 상황이 왜 그렇게 많이 발생하는지에 대해서는 전혀 알지 못했다. 대한민국 입양의 절차는 시작부터 사후 관리까지 죄다 엉망진창이고, 해외 입양이 영아 수출이라 비난 받던 이유가 말 그대로 수출과 다를 바 없었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나는 몰랐다. 이주 아동이 실질적으로 국가로부터 받을 수 있는 지원은 없는 거나 마찬가지라는 사실도. 정상 가족 바깥에 있는 사람들에게 우리 사회가 이렇게나 뚜렷하고 직접적인 차별을 가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나는 책을 읽으며 그제서야 알게 되었다. 조해진 작가의 단순한 진심, 이영애 주연의 영화 친절한 금자씨가 책을 읽기 전과는 전혀 다른 무게로 다가왔다.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고 기르는 일에 대해서도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나는 결혼도 출산도 마음에서 지운 지 오래다. 하지만 만약 교육과 돌봄의 부담을 국가가 함께 부담했다면, 한국이 적극적인 공공성으로 가족 계획에 개입하여 부모의 자율성을 최대한 존중하는 나라였다면. 어쩌면 나는 언젠가는 좋은 보호자가 되어 아이에게 세상을 알려주는 꿈을 꾸었을지도 모르는데. 나 뿐만이 아니라 어린 사람들의 소중함을 잘 아는 젊은이들이 얼마나 많은데. 우리가 금전적, 사회적 부담에 쫓기지 않았다면 스웨덴의 가족 정책의 성공적 결과처럼 자발적으로 부모가 되기를 선택한 사람들이 지금보다 훨씬 늘어났을지도 모른다.

내가 얼마나 운이 좋은 사람이었고 내가 모르는 삶이 얼마나 많은지. 강화된 가족주의가 사회와 타자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지며 낳은 수많은 끔찍한 결과를 책을 통해 알게 될 때마다 물속처럼 막막했다. 이 배타적 가족주의를 극복하고 고통 받는 개인들을 구하려면 어떻게 할 수 있을까. 아이를 어른과 동일한 한 개인으로 바라보고, 아동 학대로 이어질 수 있는 수많은 위험 요소를 사회 제도적 차원에서 예방하고, 우리 모두의 자율성과 모든 형태의 가족을 존중하는 일. 전통적 가족주의와 정상 가족 이데올로기에서 벗어나 다름을 받아들이는 일이 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책은 아이에서 시작해 아이로 돌아오지만, 그 과정에서 사회를 넓게 둘러본 기분이 든다. 누구라도 이 책을 읽기를 바란다. 그리고 나처럼 결심하기를 바란다. 더 많은 사람을 만나고, 나의 경계를 허물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더 나아가 ‘한발 물러나 객관적이고 공정한 도덕에 근거해 판단하는 이성적 역량을 키우겠다’고 마음먹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