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간 실격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03
다자이 오사무 지음, 김춘미 옮김 / 민음사 / 2004년 5월
평점 :
인간실격. 제목부터가
굉장히 강렬하다. 그리고
소설이 워낙 유명해서인지 ‘인간’이란 단어가
들어가서인지 어디선가 많이 들어본 제목이란 생각이 들기도 한다. 여기에
강력한 한 방으로 표지 그림이 한 몫 한다. 이 책은
책을 읽는 사람에게 충분한 호기심과 궁금증을 자아낸다. 그리고 이
호기심과 궁금증은 음산함의 형태를 띠고 있다. 이렇게
두근거리는 마음으로 책을 펼쳤다.
책엔
‘인간실격’과
‘직소’라는 두
개의 작품이 실려 있다. 두 작품
모두 워낙 짧아서 순식간에 읽어나갔다. 하지만 단지
짧기 때문에 순식간에 읽어 내려간 게 아니었다. 작품들은
굉장한 몰입도를 가지고 있다. 특히 전자는
자전적 소설이었는데, 인간이
추락할 대로 추락하는 모습을 1인칭
시점으로 그려낸다. 이 시점이
너무도 절망적이도록 리얼하고 감각적이다. 읽는 내내
괜히 내 마음과 심리도 구렁텅이에 빠진듯한 느낌이었다. 회의적인
말투. 냉소적인
태도. 그는
처음부터 나락 속에서 태어난 인간이었다.
주인공인
요조는 태어나면서부터 계속해 죄의식을 안고 살아간다. 모든 잘못을
자신에게 있다고 하며 타인의 비난이나 비판에 너무도 쉽게 상처받는다. 그리고 이런
이유들 때문에 ‘가면’을
쓴다. 본래의
자신의 모습을 숨기고 짐짓 유쾌한 인간인 척 하며 사는 것이다. 하지만
계속되는 삶의 연장선 속에서 계속해서 상처받고 찢기며 ‘인간실격’을 당했다
스스로 치부한다.
과연
요조가 인간실격자일까 아니면 반대로 이 사회가 실격당한 것일까. 오히려
요조는 이기적이고 냉혹한 현실에 자신을 양보하고 내주는 모습을 보인다. 너무
선하기에 느끼는 죄의식에 기인한 행동이다. 그러나
사회는 이를 비정상이라 인지하고 마구잡이로 그에게 상처를 준다. 요조의
지나친 죄의식과 선에도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지만 무엇보다도 더 큰 문제는 사회에 있다고 생각한다. 소설의
시대적 배경은 20세기
중반이지만, 현대
사회에서 이 문제는 더 심하다.
현대
사회는 차이를 쉽게 인정하지 않는다. 정상이라는
추상적인 개념의 범주에 조금이라도 벗어나면 그 대상을 손가락질하고 제대로 된 인간으로 취급하지 않기까지도 한다. 과연
‘정상’이라는
범주는 누가 정하는가. 어쩌면
정상이란 게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지 않을까. 혹은 모든
사람이 정상일 수도 있다. 하지만 이
사회는 이를 용인하지 않는 듯하다.
부끄럽지만 나 또한 그러한다. 삶을
영위하면서 누군가와의 차이를 인정하지 못하곤 한다. 그래서 그를
비난하고, 물론
직접적으로 비난하진 않지만, 헐뜯고, 모욕감을
주곤 한다. 이러한
언행들이 그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고려하지도 않은 채. 그래서일까
이 소설을 읽으며 내가 요조이기도 했고, 요조를
둘러싼 세상과 사회이기도 했다. 요조의
마음을 십분 이해하기도 했으며, 부끄러움을
느끼기도 했다.
그렇다면
결국 이 사회는 끊임없이 이런 모습을 반복할까? 그것은 아닌
듯하다. 인간실격자
요조도 중간에 구원받은 모습을 잠시나마 보였었다. 비록 다시
절망 속에 빠지긴 했지만. 이 구원의
원인은 사랑에 있었다. 사랑. 오직
사랑만이 작게는 한 인간을, 크게는
사회를 세상을 구원할 수 있다. 현실적
요소들이 개입되지 않은 순수한 사랑이 구원의 유일한 요소인 것이다.
하지만
두 번째 소설이었던 직소에선 사랑의 역효과가 드러나기도 한다. 예수와
유다의 일화를 유다의 관점에서 추측해서 작가가 쓴 소설이다. 유다는
예수를 너무 사랑하지만, 사랑하기에
그를 팔아넘긴다. 삐뚤어진
사랑이 잘못된 방향으로 작용한 것이다. 그리고
여기엔 현실적 요소들이 개입되었기 때문에 그런 모습이 나타난 것이다. 이런
속성으로 앞 문단에서 순수한 사랑을 구원의 유일한 요소로 본 것이다.
결국
인간의 삶의 문제는 사랑으로 귀결되는 것 같다. 사람, 삶. 사랑 글자
모양에서부터 굉장히 비슷한데 신기할 따름이다. 글자
모양만큼이나 서로서로 연결되어 있다. 절망적인
소설이었지만 이런 느낌을 강렬히 받았다. 사랑하고
싶다. 그리고
사랑받고 싶다. 우선적으로
내가 노력해야겠지. 주위의
누군가에게 사랑을 전해야겠다. 어쩌면
스스로를 ‘인간실격‘이라고
칭하고 있을 누군가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