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 없는 남자들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양윤옥 옮김 / 문학동네 / 201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구매한 지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난 책이다. 이전에 읽었던 같은 작가의 소설 노르웨이의 숲이 굉장히 인상 깊었기 때문에 꽤나 큰 기대를 하고 읽었다. 하지만 기대를 너무 많이 한 탓일까, 내가 읽는 동안 온전히 집중을 못해서일까, 이것도 아니면 내가 단편소설집에는 그다지 큰 영감을 받지 못해서인지 이 소설집이 전에 읽었던 소설만큼 맘에 확 들어오진 않았다. 다만 초반부에 있는 소설들을 지나 후반부 소설들에 이를수록 이 책이, 무라카미 하루키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점점 느끼게 됐다. 특히 마지막 소설인 여자 없는 남자들이 이 책의 핵심을 집약하고 있었다.

  모든 소설들에서 주인공이 사랑하는 여자들이 어느 순간에 갑작스레 사라진다. 그리고 이에 대해 주인공이 느끼는 감정과 생각들이 각각의 소설들을 이끌어나간다. 주인공의 감정이 주가 돼서일까 등장인물들도 남자, 여자, 그리고 외부인이 많아야 두세명 정도 밖에 나오지 않는다. 그래서 남녀 관계에 더 집중해서 책을 읽을 수 있고, 그 남녀 간의 사랑이 작가가 이야기하고 싶어 하는 것이다. 그리고 사랑이 항상 유지된 채 여자들과 이병하기 때문에 작가가 진정 보여주길 원하는 건, 사랑 그 후이거나 사랑의 대상을 놓쳐버린 상실감 혹은 그에 상응하는 감정인 듯하다.

  나는 진정한 사랑, 이런 사랑이 존재하는 지는 과연 의문이지만, 을 아직 진정 경험해보지는 못했다. 하지만 누군가를 가슴 아프도록 사랑해본 적이 있다. 문제는 이 사랑이 나 혼자 했음에 있긴 하지만. 이런 사실에도 불구하고 이 사랑이 서로 주고받는 것이었다는 가정을 통해 이 소설에 감정이입을 했다. 열병같은 사랑의 대상의 상실. 그 순간 너무나 가슴 아프고 세상의 모든 것은 암흑 속으로 사라진다. 모든 세상적 가치나 개인적인 욕심들은 사랑의 상실 앞에서는 아주 작고 사소한 문제들로 전락해버린다. 만약 이 순간 시간을 되돌려 다시 사랑하는 사람과 만날 수 있다면, 나 혹은 소설 속 주인공들은 기꺼이 자신이 소중히 여기는 여러 가지들을 버리고 과거로 돌아갈 것이다. 이토록 사랑이 사람의 삶에 차지하는 비중과 중요성은 상당하다.

  사랑이 있을 때 그들은 그 소중함과 중요성을 잘 느끼지 못하는 듯하다. 그 순간이 아주 행복한 시간이고 돌아오지 않을 시간이란 것을 알지 못한다. 하지만 세상 모든 것이 그러하듯, 사랑이 사라지고 난 뒤에서야 그 소중함을 절절히 느끼게 된다. 홀로 남겨진 시간의 한복판에서 외로움에 몸서리치고, 그녀가 남긴 마음의 흔적에, 주변의 흔적에 눈물짓기도 한다. 이런 생각을 전달하고자 하루키는 여자를, 사랑을 갑작스레 주인공 남자에게서 떨어트린 게 아닐까.

  사랑을 겪기 전과 후의 가장 큰 차이는 무엇일까. 사랑은 형태도 없고, 보이지도 않는다. 사랑하는 여자가 만약 아무런 흔적 없이 증발해 버린다면 홀로 남은 남자에겐 무엇이 남는가. 바로 추억이 남는다. 그녀와 함께했던 행위들, 공유했던 순간들과 물건들이 모두 그녀의 숨결을 담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장치들이 그의 후()사랑 의 삶을 더욱 더 풍요롭게 한다. 물론 한 동안 이별의 아픔에 허덕이긴 하겠지만.

  이렇듯 사랑은 한 사람의 삶을 풍요롭게 한다. 추억이란 이름으로, 어쩌면 사랑의 완성이 이별이고 그 결과물이 추억이란 생각이 갑작스레 든다. 그리고 이런 사랑은 그 어떤 가치보도 위에 존재한다. 단지 이런 이유만으로도 사랑하기에 충분하지 않은가. 우린 가슴 아프더라도 사랑해야 한다. 이별이 사랑의 시작부터 내포되어있더라도. 읽고 나니 노르웨이의 숲이 거센 파도였다면 이번 소설은 잔잔한 바다의 넘실거림이었던 것 같다. 작은 마루와 골들이 마음을 서서히 적신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