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짝 욕심이 생겼어
요시타케 신스케 지음, 고향옥 옮김 / 김영사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떤 입장에서 생각해 봐도, 가끔은 진지하고 가끔은 가볍게 생각해 봐도 욕심이라는 건 분명 궁극적인 발전을 위한 마중물인 것 같은데 우리는 왜 의식적으로 욕심의 존재를 무시하게 되는 걸까. 사실 이유를 알 것도 같은데 이 또한 의식적으로 무시하게 된다. 욕심의 크기는 대체 무엇에 따라 갈리고, 표면적으로 드러내기 위해서는 얼마나 큰 용기가 필요하길래.

 

이 책은 보편적인 에세이집의 형태와는 다르게 글이 풍부하지 않다. 하지만 그 사이 한적한 공간을 센스 있는 삽화가 채우고 있고, 이해는 쉽지만 내뱉기가 어려웠던 나의 욕심이 그 위를 꾸민다. 쉽게 말해, 이 책은 사소하다. 사소한 욕심을 나열하고, 그로 인해 사소하게 느껴지는 나의 일상까지를 예측한다. 누구나 경험했겠지만 글자로 묘사하기는 쉽지 않은 상황에 대한 통찰력을 엿볼 수 있다. 과연 욕심은 당연하고 일상적인 거라고 말하는 듯하다. 우리의 욕구는 어디까지 인정받을 수 있는가?

인생과 하루는 그 누구의 평가를 받을지언정 결국 주체의 의지대로 흘러가기 마련이다. 하지만 의지조차 굳건하지 못하게 만드는 환경이라면 말이 달라진다. 인간이라 인위적임을 느끼고, 또 제 손으로 인위를 만들어낼 수 있는 것처럼 욕심을 내는 상황 자체를 의뭉으로 취급하게 된다면 우리네 일상에서 사소한 욕심은 거대한 이기심이 되어 다가온다.


욕심이란 '분수에 넘치게 무엇을 탐내거나 누리고자 하는 마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을 뜻한다. 여기서 기억하고 싶은 부분은 결국 이 또한 마음이라는 것. 주체의 감정이거나, 기분이거나, 생각일 뿐이라 누구에게 해를 가할 수 없다는 점을 기억하자. 물론 과한 욕심을 실행에 옮긴다면 재단할 필요가 있겠지만, 여기서는 나의 조그만 욕심을 부려 사소하고 별것 아닌 욕심으로 소재를 제한하기로 한다.


가장 최근에 부린 욕심이 무엇인가? 또는 가장 최근에 참아낸 욕심은? 너무 사소한 일이었는지 죄다 잊어버려, 마치 인생에 욕심이라고는 없는 사람처럼 순수한 상태가 되었지만 지금 당장도 욕심을 만들어내고 있는 어쩔 수 없는 인간에 그치므로, 앞으로의 욕심 또한 해소하지는 못할지언정 언급조차 금한 채 삼켜내지만은 않기로 한다. 감정을 기록하고 묘사하는 행동은 결코 사소하지 않다. 매일 돌아오는 것처럼 느껴지는 하루들이지만 그 사이 욕심을 숨기지는 말자. 하루와 하루를 잇는 나의 솔직함을 매몰시키지는 말자.


이 책에 동조하며 살짝 생겼을 욕심은 우리를 환기 시킨다. 무엇보다 가볍지만 누구보다 효과적이다.

 

[이 서평은 김영사 대학생 서포터즈 활동의 일환으로 김영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