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위한 신화력 - 나를 온전히 이해하기 위한 신화 수업
유선경 지음 / 김영사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리스로마를 지나 북유럽과 중국 신화까지 아우르는 넓디넓고 다채로운 내용을 담고 있어서 그런지 읽는 내내 눈을 동그랗게 뜨고 봤다. 솔직히 말해서 한 번에 와닿는 내용은 아니다. 시간적으로도 멀고 공간적으로도 멀다. 문화 차이는 무슨 계급(?) 차이도 잔뜩 드러나는 사이다. 그도 당연한 것이, 역사도 아니고 '신화'인 걸. 하지만 여기서 신기한 점은 타국의 기원 신화를 읽으며 나의 존재 의미를 다시 한번 정립했다는 것이다. 역시 정답은 근원에 있다더니, 탄생을 되새기니 현실에 써먹을 이정표가 나왔다. 신의 탄생과 인간의 탄생? 책 속에서 언급되는 한낱 인간과는 다른 존재라 정의 내리고 싶은 '나'의 의미를. 크로노스의 낫질로 태어난 아프로디테와, 핸드폰에서 재생되는 파도 소리를 들으며 책상 앞에 앉은 나의 연관성은? 굳이 덧붙이자면 나 또한 변방의 어느 신이 된 기분이었다나. 책을 펼칠 당시 예측할 수 있었던 효과는 아니지만 어쨌든 신화를 유영하는 경험이었다는 점은 틀림이 없으니 기분이 좋다.

대체적으로 먼 나라 이야기 같다. 근데 맞다, 먼 나라 이야기. 개인적으로 평소에도 입에 달고 사는 이야기지만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만남의 장을 열어주는 책은 정말 좋은 책이라고 생각하는데, 마침 이 책이 그렇다. 나는 한 장을 넘기며 가이아를 만났고 그다음 챕터로 넘기며 크로노스를 만났다. 그리 반가운 경험만은 아니었는데 그조차 내 견해로 바꿔 먹었으니 나로서는 큰 이득이다. 그리스로마 신화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잘 알려진 신화이다 보니, 나보다 앞서서 삶을 살아가던 여러 예술가 또한 다양한 방법으로 신화를 접했고, 내가 지금 서평을 쓰고 있는 것처럼 그들 또한 그리스로마 신화와 관련된 예술작품을 많이 남겨뒀더라. 잘 아는 사실이었는데, 책 속에서 해당 작품과 관련된 신화 속 에피소드를 듣고 분석을 씹으며 바라보는 미술 작품은 또 새롭고 신선했다. 역시 참고 자료는 본문이 있을 때 빛을 발한다. <아들을 먹는 크로노스>를 그리던 고야와 나는 엄청난 시간적 간격을 사이에 두고 있지만 느끼는 바는 크게 다르지 않다. 여기서 웃긴 건 고야와 아들을 먹는 크로노스 사이에는 얼마나 큰 시간적 골이 존재하냐는 거다. 그리스로마 신화 앞에서는 나나 고야나 그저 인간일 뿐이고. 요약하자면 그리스로마 신화 수업을 들으며 미술의 거장에게 친근감을 느낀 거지. 인간인 내가!

우리는 잘 잊어야 하고 잘 기억해야 한다. 어떤 걸 기억할지는 순간의 선택에 달렸다. 나의 삶과 우리의 삶도 먼 미래의 누군가에겐 신화가 될 수 있지는 않을까? 작은 행동을 크게 해석하며 스스로의 존재를 파악하는 사람이 될 수 있어야 한다. 신화는 미래를 만들고 미래는 신화를 잊지 않는다. 두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우리의 신화 神話는 그렇다.

[이 서평은 김영사 대학생 서포터즈 활동의 일환으로 김영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