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 녀석 맛있겠다 - 별하나 그림책 4 ㅣ 고 녀석 맛있겠다 시리즈 1
미야니시 타츠야 글 그림, 백승인 옮김 / 달리 / 2004년 6월
평점 :
아이들은 자기들 생각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관계를 맺는 존재다. 그래서 나와 타인의 입장을 바꿔 생각하는 게 어렵다. 그렇지만 자기중심적인 생각은 때론 어렵고 힘든 상황을 쉽고 유쾌하게 해결하기도 한다. 마치 <고 녀석 맛있겠다>에 나오는 주인공 안킬로사우르스처럼.
넓디 넓은 곳에서 혼자 태어난 외톨이 안킬로사우르스는 부모를 잃은 외로운 영혼이다. 아이들에게 혼자라는 두려움은 어른이 생각하는 것 이상이다. 약하고 소외된 목숨은 생명줄에 대한 위협을 느낀다. 그 때 만난 어른이 하필 '고 녀석 맛있겠다'라며 침을 질질 흘리는 티라노사우르스라니! 나와 함께 책을 읽던 우리 반 아이들은 '꺄악! 이젠 죽었다. 큰일났다'라며 허둥댔다. 자기 몸의 수백 배도 더되는 티라노사우르스를 보면 기겁할 만한데 불행인지 다행인지 어린 안킬로사우르스는 누가 적인지 동지인지 조차 모른다. 그야말로 백지 상태다.
안다는 것은 선입견과 맥이 닿아 있다. 앞에 서있는 이 거대한 존재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모르니 겁이 날리가 없다. 겁을 내기는 커녕 안킬로사우르스는 급기야 "아빠"라고 부른다. 내 이름을 알고 있으니 아빠임이 분명하다고 확신한다. 아, 이 천진함! 천진함 앞에서는 모든 게 무장해제된다. 어처구니없는 티라노사우르스는 자기처럼 되고 싶다는 말에 어느 덧 보호자가 된다. 그래서 안킬로사우르스를 먹기 위해 달려드는 키란타이사우르스와 한판 싸움을 벌인다. 자신의 아픔을 참으며 자기의 먹이를 구해주는 지경에 이른다. 무엇 때문일까? 안킬로사우르스의 천진함이 그의 마음을 움직였기 때문이다.
드디어 서로를 알뜰히 챙기는 사이가 된 안킬로사우르스와 티라노사우르스. 생김새가 달라도 서로에 대한 배려와 믿음은 상대를 위해 자신의 아픔쯤은 견딜 수 있게 하는 귀한 마음밭을 만들어 준다. 자기처럼 되고 싶다는 안킬로사우르스에게 꼬리 쓰는 법과 울부짖는 법박치기를 가르쳐 주는 티라노사우르스. 살아남는 법을 가르쳐주는 티라노사우르스의 모습이 눈물겹다. 자기와 영원히 함께 할 수 없는 존재에게 강하게 살아남는 법을 가르쳐주는 것은 우리 어른들이 자식들에게 해야 하는 일이다. 존재감을 잃지 말고 살아남는 법!
아빠와 함께 달리기 경주를 하자는 제안을 하며 안킬로사우르스를 제 동료들이 있는 곳으로 돌려 보내며 안킬로사우르스가 따다 준 빨간 열매 한 알을 삼키는 키라노사우르스. 어찌보면 어른의 보호 아래 살아가고 싶어하는 어린이에게 자신만의 세계를 찾아 떠나게 해주는 어른의 모습은 아닐까? 눈물을 머금고 제가 살아야 할 세계로 떠나 보내는 어른의 모습.
천진한 아이와 더 나은 삶을 위해 아이를 떠나 보내는 속깊은 어른의 만남이 빛나는 <고 녀석 맛있겠다>. 아이들과 키득거리며 얼마나 재미있게 읽었는지 모른다. 안킬로사우르스가 자기의 이름을 '고녀석 맛있겠다'로 말고 있고, 계속하여 반복되는 '맛있겠다'는 이름을 부를 때마다 웃음이 나온다. 책을 다 읽고 나서도 입 속에 맴도는 '맛있겠다야, 맛있겠다야!'.....그리고 덩치 큰 아빠와 조그만 아들이 하는 양을 그림으로 대조시켜 놓고 있는 데 그것을 살펴보는 것도 즐거운 일이다. 키득키득 웃음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