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의 생각법 2.0 - 1등 플랫폼 기업들은 무엇을 생각했고 어떻게 성장했는가
이승훈 지음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20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플랫폼의 생각법이란 책을 만났다.

플랫폼이란 무엇인가?
플랫폼이란 용어는 ‘양면시장을 대상으로 한 새로운 사업모델’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양면시장이란 무엇인가?

소비자 <———플랫폼———>생산자

내가 이해한 것을 바탕으로 적어 보자면..
기존 시장 생태계는 판매자와 구매자만 있었다.
판매자는 물건을 팔고 소비자는 물건을 구입한다.

생산자(기업)와 소비자(고객)만 있을때는 기업의 경쟁 상대는 고객이라는 단 하나의 시장만이 존재했다..
그로 인해 모든 기업들은 소비자를 지향했고 기업들의 경쟁에서 영원한 승자도 패자도 존재할 수 없는 시장이었다.

이런 생태계에 판매자와 소비자를 연결해주는 중매쟁이 역할을 하는 플랫폼 기업이 생겨났다.
플랫폼 기업의 고객은 공급자뿐만 아니라 소비자까지 정의하여 양쪽 모두에게 이익을 얻을 수 있는 구조이다.
플랫폼 기업의 고객은 공급자, 소비자 양쪽 모두 인 것이다.


예를 들면, 기존의 삼성전자, 포항제철, 조선일보, 이마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고객을 정해 놓고 공급자의 역할만 충실히 해냈다. 이것이 단면시장이다.

양면 시장은 플랫폼 운영자가 생산자나 소비자로 참여하지 않는다. 플랫폼이 잘 운영되도록 원칙을 정하고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가 윈윈 할 수 있는 구조를 지향한다.

잘 운영된 플랫폼은 시장 생태계에서 독점을 만들어 내었고 후발 주자의 추격을 막을 수 있었다. 독점은 시장 경제에서 부정적인 의미로 쓰이지만 독점적인 지위에 선 플랫폼 기업들은 독점의 횡포를 휘두르기 보다 더 많은 고객을 확보하고 기업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렇다면 플랫폼을 나누는 기준은 무엇일까?

<광장 플랫폼 : 구글, 페이스북, 유튜브>
지식의 구글, 미디어의 페이스북, 그리고 영상 콘텐츠의 유뷰트가 들어간다.
세 플랫폼 모두 진입의 제한이 없고 플랫폼이 제공하는 가치를 향유함에 있어 아무런 대가를 요구하지 않는다. 완전한 개방을 추구하고 플랫폼 운영자의 개입은 최소한으로 제한된다.(p.94)
그렇다면 광장 플랫폼 회사의 수익율은 어디서 올까? 가장 큰 수익은 광고에 있지 않을까 싶다.

<시장 플랫폼 : 아마존, 우버, 에어비앤비, 디디추싱, 배달의 민족>
시장 플랫폼은 양면 시장 참여자간의 거래가 발생한다. 이 플랫폼의 가장 중요한 것은 금전적인 거래가 발생하는 만큼 서로에 대한 신뢰가 중요하다. 그리고 플랫폼을 유지하기 위해 운영자만의 독점적 지위에 오를 수 있는 운영 원칙이 필요하다.
그 예로 아마존의 풀필먼트이다. 판매자를 위해 상품의 보관 및 배송을 대행해주는 아마존의 제 3자 물류 서비스이다.
소비자를 위해 준비한 도구는 아마존 프라임이다. 멤버십 서비스로 1년 119달러를 내면 풀빌먼트 상품을 포함한 전체 아마존 프라임 상품에 대해 2일 내 배송을 무료로 제공 받을 수 있다. 그 밖에 온라인 음악, 영상, 전자책 서비스 등도 무료로 제공된다.
최근 뉴스에서 쿠팡이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시장 진출을 한다는 기사를 본 적이 있다. 이미 쿠팡도 로켓와우멤버쉽등을 통해 충성 고객을 확보하였고 다른 마켓과의 차별화를 위해 새로운 시장을 도입하는 것을 보면 쿠팡이 한국의 아마존이 될 것이란 생각은 나만 드는 것이 아닐 것이다.

<인프라 플랫폼 : 애플, 안드로이드, 마이크로소프트>
눈에 확실히 보이는 시장이 아니여서 이해가 좀 어려웠다. 그리고 무엇보다 내가 자주 사용하는 시장이 아니란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나는 이미 애플과 안드로이드 및 아이 사진 저장을 위해 클라우드를 사용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애플이다. 애플은 모바일 기기로 판매자와 소비자를 모집한다. 애플의 OS기반으로 앱스토어라는 생태계에서 판매자와 소비자를 모집한다. 그에 앞서 애플은 모바일 기기를 생산하는 제조업을 기반으로 사람들에게 모바일에서 인터넷을 사용 할 수 있는 혁명을 이뤄냈다.

이밖에 중국의 플랫폼, 한국의 플랫폼, 플랫폼의 미래에 대하여 저자는 이야기한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며 플랫폼의 의미를 전혀 모르는 독자에서 내가 자주 이용하는 주요 기업들이 플랫폼으로서 가지는 의미를 조금은 이해할 수 있었다. 세계 시장에서 아마존이 독점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 앞으로도 선한 독점 기업이 되기 위해 기업이 추구해야할 가치, 우리나라에서 쿠팡이 플랫폼으로 성장하고 독점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을지 흥미진진하게(?) 시장을 바라보는 눈이 생겼다.

이 책은 플랫폼 바이블이다. 앞으로 나와 우리 아이가 살아갈 플랫폼 세상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주었고 기업들이 플랫폼의 생각법에 맞춰 진화하는 것을 지켜보며 투자자의 안목을 키울수 있게 되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종이달 2022-01-07 03: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