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서의 기술
제니스 A.스프링 지음, 양은모 옮김 / 메가트렌드(문이당) / 2007년 11월
평점 :
품절


 영화 <밀양>을 보았는가? 그 영화는 - 더 엄밀히 말하면 원작 소설인 <벌레이야기>는 - 우리에게 질문을 하나 던진다.
‘과연 용서는 신의 권한인가, 인간의 권한인가?’
나는 당연히 인간의 권한이라고 생각했다. 인간이 먼저고 신이 나중이다. (우선순위가 아니고 절차가 그렇다는 거다.)

신에게까지 갈 중대한 죄를 저지르지 않더라도 우리는 늘 자잘한 잘못을 저지르고 살아간다. 더불어 타인으로부터 상처 입는다.
‘인간관계는 작은 이익이 있기 때문에 지속되는 게 아니라, 큰 해가 없기 때문에 지속된다.' 라는 말을 읽은 적이 있다. (출처는 잘 모르겠다.)

정말 멋진 말 아닌가? 가족 간에, 친구 간에 득을 보려고 교류하는 것은 아니다. 그들이 내게 치유 못 할 상처를 준 적 없기 때문에 아직도 교류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우리가 서로에게 해를 끼치더라도 용서하고 용서받으면 소중한 관계들을 지킬 수 있다는 말과 같다. 나는 그렇게 생각한다.

그러나 우리는 진실한 용서를 주고받는 방법을 모른다.

 

이 책은 그 방법을 알려준다.

 

책이 전하는 메시지에 귀를 기울이다 보니 예전의 내 경험이 되살아났다.

내가 어설프게나마 상담원 활동을 하던 때, 상담원들이 피해자를 대하는 태도 중에 엄청난 엉터리가 있었다.

상담원은 중재 후 가해자가 충분히 사과했다고 멋대로 판단해버리거나(이건 피해자의 극히 주관적인 판단에 의지해야 하는데 말이다), 가해자가 용서를 빌지 않아도 피해자는 가해자를 용서할 수 있다고 믿기 일쑤였다.


나 역시 그때는 마찬가지였다. ‘당신이 그 사람을 사랑하니까 용서해야지 별 수 있나요?’ 내지는 ‘사랑하지 않는다면 냉정해져요. 스스로를 위해 그를 용서해버려요. 그게 복수랍니다.’ 하는 식의 사서삼경 위에 십계명 얹어 읽는 소리나 했으니 부끄러운 노릇이다.


상처받은 사람들은 자신을 돌보지 못한다. 그들에게는 이 책을 읽은 상담자(친구든 가족이든 전문상담원이든)가 도움을 줄 것이다. 상담원들은 필히 읽었으면 좋겠다.

개인적으로 이 책의 저자는 매우 훌륭한 상담원이라고 생각한다. 그녀는 우리의 용서가 케케묵은 윤리지침이 아닌 현실에서 어떤 식으로 이루어지는지 잘 아는 사람이다.


나는 이제 내가 아주 중대한 잘못을 저지른다면 내 배우자에게, 내 어머니에게, 내 친구에게 어떤 식으로 사과해야 하는지 알게 되었다. 나는 앞으로는 예전처럼 상대가 옹졸해서 내 잘못을 부풀린다고 불평하지 않겠다. 그건 상처받은 상대에게 좀 대범해지라고 역반하장으로 충고하는 일이나 다름없으니까. (왜 이걸 이제 알았지?)


더불어 남을 용서하기 힘들어하는 나 자신도 이해하게 되었다. 나는 감당하기 힘든 상처를 받으면 용서보다는 관계를 끊는 쪽을 택했다. 단 하나 남편과의 관계만은 예외였는데, 나는 늘 집요하게 용서를 빌 것을 요구했고, 원하는 것을 얻어냈다. 그리고 스스로를 미워했다. ‘나는 왜 대가 없이 명쾌하게 용서하지 못할까? 나는 덜 된 인간인가 보다.’


이제 나는 내가 비정상이 아니라 지극히 정상이라는 것을 알았다. 앞으로는 누구에게 상처를 입든 관계를 단절하기보다는 내 상처를 호소하겠다.


깨달음을 준 멋진 책의 내용에 비하면 이 책의 문장은 좀 아쉬웠다. 개인적인 바람으로는 좀 더 한국어 사용자에게 친숙한 문장으로 대폭 의역하고 한글 어법에 맞게 중문, 복문들을 해체해 간결하게 했더라면 싶었는데.....

그러나 한편 생각하면 관계가 악화된 사람들끼리 나누는 조심스런 대화가 많아서 너무 손댔다간 원문의 의미가 훼손될 우려도 있으니......
그 정도는 넘어가줘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