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사들의 노래 - 서지 않는 열차를 멈춰 세우며
홍은전 지음, 훗한나 그림, 비마이너 기획 / 오월의봄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른 전사들도 아름답고 애틋하고 경애로웠지만, 내게 더 민감해져야 하고 더 인내해야 한다는 가르침을 줬던 박김영희 편을 북플에 옮겨둔다.

지하철을 세 번 갈아타고 영등포의 병원 문 앞에 도착했더니웬 남자가 서 있었어요. 병원이 3층이어서 나를 업고 올라가려고기다리고 있었대요. 어이가 없어서 공무원들을 다 불러 모았어요. 내가 성폭력을 당한 장애여성이라면 몸에 남자의 손이 닿는것도 참을 수가 없는데 3층까지 안겨서 올라가라는 것이 말이 되냐고 눈에 힘을 주고 말했어요. 그러고선 나를 전동휠체어에 탄채로 들고 올리라고 했죠.  - P99

저는 회의를 질질 끄는 사람이 되어 있었어요. 하지만 정말로 회의를 지연시키는 건 지각하는 남성들이었어요.  - P103

그녀에게서 종종 전화가 와요. 집에 있다가 심심하면 노숙하던 친구들을 만나러 나가기도 하면서 지내고 있나봐요. 그녀를만나면서 알게 됐어요. 안전을 위해 집에만 있으라고 하는 건 결코 그녀의 행복을 위한 게 아니라는 걸요. 노숙 생활이지만 나름대로는 자유롭고 재미있는 거예요. 바깥에 친구도 있고 길에서사는 방법도 터득했어요. 나 만나면 항상 "5000원만 주세요" 하는데 만 원 주면 "만 원 말고 5000원 주세요, 5000원 주면 나 맛있는 거 먹을게요" 해요. 그녀한테 계속 말하죠. "아프면 병원 가는 거 알죠? 노숙인을 위한 병원 있으니 꼭 가세요. 누가 혹시 때리면 맞지 말고 피하고 자주 목욕해요. 전동휠체어 충전시키는거 잊지 말아요." 그러면 그녀는 알았다고 해요. - P123

자립생활운동이 활발해지면서 중증장애인 대표들이 많이 생겨났지만 좋은 리더가 어떤 모습인지에 대한 고민은 부족했던 것 같아요. 그러다 보니 대표가 권력적으로 변해가거나 ‘바지사장‘처럼 되어가기도 하죠. - P129

그 말이 뜨겁고도 서늘해서 가슴이 찌르르했다. 나는 그 후에도 오래오래 그 말을 곱씹다가 알게 되었다. 방법이 없었다고자꾸자꾸 말하는 그가 얼마나 필사적으로 방법을 찾는 사람이었는지를. 모든 어린이들에겐 숙제가 있었지만 영희에겐 없었다.
그래서 영희는 동생들의 숙제를 했다. 그것은 어린 영희가 살기위해 찾은 생존의 방법이었다. 하지만 아무리 열심히 해도 내것이 아니었던 숙제는 영희를 얼마나 불안하고 슬프게 만들었을까. - P134

나는 가슴이 뭉클했다. 그것들이 영희에게 자기몫의 숙제가 생긴 순간처럼 느껴졌다. 이제 영희는 세상에 없는방법을 찾아 헤매지 않고 ‘만들기‘ 시작한다. 단체를 만들고 저상버스를 만들고 승강기를 만들고 법과 제도를 만들고, 그리고 자기의 언어를 만들었다. 어떤 선택은 결실을 맺고 어떤 선택은 그렇지 못했대도 온전히 나쁘기만 한 선택은 없었다. 상처도 좌절도 모두 ‘내 것‘이고 시행착오를 겪을 때마다 영희는 고유하고 선명해졌으니까. 영희는 자라서 그 누구도 아닌 영희 자신이 되었으니까. - P13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