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로하, 나의 엄마들 (양장)
이금이 지음 / 창비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알로하나의엄마들 #창비사전서평단 #하와이 #여성연대 #100년_전 #세_여자_이야기 #놀라운_몰입도


힐링도서, 영미권의 판타지소설, 스릴러소설같은 것들을 읽느라 한국문학 도서들은 정말 오랜만에 읽었다.

한국문학은 (외국 고전 소설들도 더러 그렇지만) 문체가 현대와 달라 조금 읽으면 집중력이 떨어져 그닥 좋아하는 장르는 아니었다.

한국문학에 익숙치 않은 내가, 이 책을 완독을 할 수 있을까 걱정도 했지만 무엇보다 세 여자가 꾸려 나가는 여성 연대의 삶이란 어떤 것일까 궁금했었다. 또, 1900년대의 소설에서 보여줄 수 있는 '여성 연대'란 어떤 것일까 궁금했다.

스포일러가 될 수 있습니다.

책의 주인공인 버들은 경상도 김해의 작은 마을에서 사는 열여덟 살 소녀이다. 훈장 아버지를 두었지만 일본 손에 아버지를 잃고 어머니, 동생과 하루하루 입에 풀칠하며 살아가고 있었다. 어느 날 사진 결혼을 소개받게 된다. 중매쟁이는 돈을 벌기위해 하와이로 간 조선 사내들이 돈은 많이 벌었지만 신부가 없어 많은 돈을 주고 조선에서 신부를 찾는다고 했다. 그렇게 버들은 태완을 소개 받게 된다. 마을 친구였던 홍주도 사진 결혼을 하게 된다. 자기주장이 강했던 홍주는, 여러 사진들을 직접 보고 자신이 신랑을 고른다. 같은 마을에 사는 송화 또한 사진 결혼을 하고, 그렇게 버들, 홍주, 송화는 하와이에서 혼인을 치른다. 태완을 제외한 나머지 신랑들은 원래 나이보다 10살이나 적게 부르는 등 너무 늙어 있어 모든 신부가 울며불며 난리를 쳤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의 신부들은 아이도 낳고 나름대로 살아간다.

여성 연대의 가족이야기가 궁금했기 때문에, 가족 구성에 대해서 생각하며 읽어보았다. 소설 속에서 '아버지'는 잘 등장하지 않는다. 버들의 아버지는 오래 전 왜놈 순사 손에 죽었고, 홍주의 아버지는 그저 말로만 나올 뿐이다. 이는 버들과 홍주가 결혼을 해서도 잘 나오지 않는다. 남편들은 자주 나오지만, 버들이 아들 정호를 낳고 얼마되지 않아 정호의 아버지인 태완은 독립운동을 한다며 중국으로 떠나버린다. 홍주는 아들을 낳고 조선의 조강지처가 있다며 돌아가버린 남편에게 아이를 빼앗긴채로 버들에게 찾아간다. 송화 또한 아이를 임신했지만, 도중에 남편과 사별을 하게 된다. 그렇게 세 여자는 '아버지'라는 존재가 없는 가정을 꾸려 돈을 벌고, 아이를 키우며 살아간다. 만약 가족 구성에 대해서 생각하지 않고 봤다면, '아버지'의 부재는 보이지 않았을 것이다. 소설 속에서 부각되는 부분은 아니지만, 시대상황상 이해가 되는 부분이었고, 그렇기 때문에 당시의 여성들이 얼마나 무거운 삶의 짐을 지고 살아가야 했는지도 잘 느껴졌다.

초반에는 약 400페이지에 가까운 이 책을 재밌게 읽어나갈 수 있을까 걱정했지만, 중반에 들어서고는 책을 아껴읽었다. 특히, 마지막부분에서는 눈을 뗄 수 없는 반전이 펼쳐졌다. 충분한 복선이 있기는 했지만, 복선을 잘 해석하지 못하는 내게는 정말 짜릿한 반전이었다.

청소년 권장도서로만 만나뵈었던 이금이 작가님의 장편소설을 읽어서 기분이 굉장히 좋았다. 

아프게, 기쁘게, 뜨겁게, 파도를 넘어서며 살아갈 것이다. - P32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