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레아의 신부 - 왕자 이언과 무녀 부용의 애절한 러브스토리
이수광 지음 / 북오션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본의 나비부인, 중국의 투란도트보다 수십년 앞서 오스트리아 빈에서 상영된 발레극 "코레아의 신부"가
130년 만에 소설로 탄생되었다.

한국전쟁과 더불어 우리민족의 근현대사에 가장 아픈기억이 일제 침략과 강제병합이다.
양반 사대부들의 뿌리깊은 유학사상이 시대에 뒤쳐져 국제정세에 제대로 대응하지못한채 쇄국정책을 펴 스스로 고립을자초하여 주변열강들의 먹이가 된 아픈 현실을 소설 속에 녹여 놓았다.
드라마 미스터선샤인의 배경과 겹친다.
등장인물 또한 유사한 점이 많다.
또한편의 미스터선샤인이라고 해도 무방할 듯 하다.

이 소설은 독일인 발레극작가 하인리히 레겔이 독일대사와 함께 조선에 오게되고 한 조선무희의 춤에 반하게 되면서 그녀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발레극을 썼으며 발레극을 소설화 한것이다.
이 소설의 주인공인 왕자 이언과 무녀 홍부용의 가슴시린 사랑이야기가 시대적 배경과 조화되어 더욱 절절하게 전해진다.
소설은 팩션으로 실존 인물과 가상의 인물들이 고루 등장하는데 주인공인 왕자 이언과 부용은 가상의 인물로 머리를 자르고 군사훈련 왕자와 궁중무녀이자 말을타고 활을 쏘는 설정이 미스터선샤인의 유진과 애신의 관계와 유사하다.
특히 화자로 등장하는 독일인 레겔의 눈을 통해 이야기가 전개되다보니 그시대 국제정세를 폭넓게 이해 할수 있어서 좋았다.

청일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하고 조선이 일본에 병합된 안타까운 과거를 겪었지만 만약 청이 일본을 이겼었다면 조선의 미래는 또 어떠했을까 하는 생각도 해보게 된다.
어떤 결론이든 우리의 수난은 계속되었음이 분명해 보인다.

결국은 우리스스로 우리를 지킬수 있는 힘을 기르지않는다면 비극은 반복될 수밖에 없지않을까?
우크라이나 사태를 보면서 다시 한번 되새기게 된다.

본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한 도서를 읽고 작성한 것으로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