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상을 꿈꿔라 6 - 2020 노벨 과학상 수상자와 연구 업적 파헤치기 노벨상을 꿈꿔라 6
이충환.박응서.한세희 지음, 조규봉 감수 / 동아엠앤비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노벨상을 모르는 사람은 없겠지만 사실 매년 누군가에게 수상을 하고 그 내용이 어떤것인지에 대해 알기가 쉽지않지요.

물론 검색하면 뭐~하고 생각하기 쉽지만 사진과 이름정도만 알고 보통 전공분야가 아니면 관심이 크게 가지않는 게 보통 아닐까요?

아, 저만 그런가요?ㅠㅠ

.

더구나 노벨상을 어떤 분야에서 받는지 상세히 알려주고 수상자에 대해서도 수상내용과 업적이 어떤지 알려주는게 전 참 신기하고 관심이 가더라구요.

 우리나라에서는 노벨평화상을 받은 고김대중대통령님을 제외하면 후보에도 오르기도 쉽지않죠.ㅜㅜ

매년 한국인이 노벨문학상, 노벨화학상 분야에 유력후보로 거론은 된다고 하지만 그래도 참 안타깝네요.

 특히 과학분야에서 갈증이 심하게 나는데  그 이유가 사실 보통 20~30년에 걸친 연구 업적을 바탕으로 수상자를 결정하는데요. 기초 과학 연구에 대한 투자가 늦은 우리로서는 당연한 결과가 아니겠냐고 지은이들은 아쉬워하고 있네요.



과학 분야를 대부분 전공하거나 취재하는 일을 하는 작가님들이 청소년들에게 노벨상 수상자들에 대해 설명해주고, 독자들이 노벨상 수상자가 되기를 희망하는 지은이들의 마음이 잘 느껴지는 책이었습니다.



노벨물리학상, 노벨화학상,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들에 대해서는 물론, 다른 노벨평화상,노벨문학상,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들의 업적에 대해서도 이렇게 한눈에 볼 수 있게 소개되었네요.



그리고 내용도 <몸풀기! 사전지식 깨치기>코너가 있었고요. 가장 흥미로운건 <확인하기>문제였지요.ㅎㅎ 


과학적인 전문지식도 짧고, 문해력도 약한 제가 내용을 읽어본 후 테스트하는게 너무 부끄러워서 채점한 것은 공개 거부입니다.큭.


 과학분야의 노벨상 수상자와 그 내용을 처음 들었을때 가장 귀에 들어온 분야는 당연히 노벨물리학상의 블랙홀의 존재를 확인한 과학자에 대해서였지요.

그러나 제가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관심이 갔던 분야는 노벨화학상이었답니다.

"유전체 편집 방법 개발"이라...딱 떠오르는건 GMO식품이었으니까요. 유전공학을 이용한 품종개량이 인간과 동물들을 포함한 자연환경 생태계를 교란시키는 우려때문이죠.

 저의 우려는 혼자만의 것이 아니니 수상업적인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와 같은 획기적인 방법이 수상한 것이 아닌가 뭐 이러면서 흥미롭게 이 책을 읽었답니다.

참, 우리나라에서도 1세대 유전자 가위부터 2세대, 3세대 유전자 가위까지 모두 독자적인 기술을 이용해 개발했다고 하네요.


청소년들에게 재미있고, 간단하게 노벨상에 대해 정보를 주는 이 책 덕분에 제가 많은 정보를 습득했어요.^^

 사실 노벨상 시상식이 코로나19로 인해 제대로 열리지도 못했는데요. 올해, 내년에는 제대로 치뤄지길 바랍니다. 제발~~


*허니에듀와 출판사 동아엠앤비로부터 도서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의견으로 이 글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