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마크에서 날아온 엽서
표재명 지음, 박정원 엮음 / 드림디자인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 앞에 선 단독자
고등학교 시절 누구나 윤리 시간에 들어봤을 이름 키에르케고르가 남긴 말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엉뚱하게 그의 정확한 이름은 대체 무엇인지 궁금해졌다. 나는 키에르케고르라고 배웠는데 요즘은 키르케고르라고 쓰기에 현대 문법에 맞는 표기법인가 했더니 이 책에서는 줄곧 키에르케고어라고 지칭한다. 덴마크사람이라서 표기체계가 분명하지 않아 생긴 문제인가 보다.

이 책은 가족을 그리워하는 40대 중반 아버지가 1970년대를 살던 덴마크에서 가족들에게 보낸 엽서에서 비롯된다. 평생 키에르케고어 철학을 연구했던 으뜸 권위자인 표재명 박사가 돌아가신 후, 그가 가족들에게 보낸 엽서 꾸러미를 발견한 아들 내외의 약속에서 시작된다. 5년 후 이 엽서들로 책을 내자고. 그러나 그로부터 3년 뒤에 아들도 세상을 떠나며 그 충격으로 남편과 아들을 잃은 어머니는 요양원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 책은 남편과의 약속을 지키고자 하는 아내의 마음과 시아버지에 대한 존경심과 그리움으로 만들어진 책이다.

표재명 박사가 1년간 덴마크에서 유학하면서 자신이 평생을 연구하며 존경했던 키에르케고어와 관련된 곳들을 직접 눈으로 보고 그의 삶의 흔적들을 되짚어가는 1장 뒤에는 그가 가족들과 편지를 주고받으며 남긴 실제 엽서 내용, 생전에 번역하거나 기고했던 그의 생각이 담긴 글 그리고 가족들이 보내는 편지라는 이름의 추모글 성격의 전기 형식의 글들이 실려 있다.

키에르케고어는 인간은 모두 죽음에 이르는 병에 걸렸다고 표현했다. 학생 시절에는 이해할 수 없는 말이 더러 있었는데, 아마도 인간은 모두 죽음에 대한 공포와 이로 인한 불안을 안고 사는 존재라는 말이 아닐까 싶다.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불안을 느낄 수밖에 없다던 누군가의 말과 같은 맥락인 듯하다. 태어났기에 탄생과 죽음의 사이에서 자신의 인생을 살아가게 되는 것이 인간이고, 그 끝이 죽음인 것은 모두 동일하니까.

이 보편적인 사실에 대한 해석이자 삶의 방식에 대한 고민이 철학이라는 이름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해보게 된다. 인간이 왜 삶을 이어나가야 하는 존재인지, 사실 자신도 왜 살아야 하는지 그 이유를 모르겠다던 어린 벗과의 대화가 떠오른다. 나는 그 질문에 대한 대답은 어차피 나도 모르고 다만 우리가 지금 하고 있는 이 대화 내용이 수많은 철학자들의 평생의 의문이자 간절히 풀고 싶은 숙제였다는 것은 확실히 안다고 대답했었다.

그리고 생각해 봤다. 나는 왜 살아가는가.
나는 일단 죽고 싶지 않다. 살아 있는 지금이 소중하고, 앞으로 해보고 싶은 일이 많으며 한 번 사는 인생 스스로에게 부끄럽지 않게 열심히 살아 보고 싶다. 공부하고 싶은 분야도 명확해졌고, 하고 있으면서도 여전히 길을 잃고 혼자 성질을 내고 있긴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키에르케고어의 죽음에 이르는 병 정도는 견뎌 보고 싶다. 내가 공부하고 있는 것들이 언젠가 단 한 사람에게라도 다시 살아 볼 이유가 되어준다면 너무나 기쁠 것이다.

이름은 덴마크에서 날아온 엽서지만, 따스한 마음으로 만들어진 책인 것에 비해 이 책을 구성한 사람들은 평범하진 않다. 표재명 박사의 덴마크에서의 1년은 코펜하겐 대학 연구교수 시절이고, 이 책을 엮은 며느리는 현재 이화여대에서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며 가족 구성원들도 비슷한 이력을 소유하고 있다. 나는 그 구성이 특이하고 요즘 철학에 관심을 가지고 있던 터라 이 책을 읽고 싶었지만, 따스한 엽서만 생각했던 사람들은 이 책 구성에 의문을 가질 수도 있을 것 같다. 나는 그 엽서의 외적인 부분이 궁금했던 터라 흥미롭게 읽었다.

키에르케고어라고 지칭된 그 철학자에 대한 관심이 생긴 것으로 보아 표재명 박사가 보낸 엽서에는 아주 많은 것이 담겨 있었던 것 같다. 아름다운 엽서와 한 아버지의 따뜻함을 기대했다면, 그것도 담겨 있지만, 그 사람의 생각과 철학도 함께 읽을 수 있었던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