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해지려는 관성 - 딱 그만큼의 긍정과 그만큼의 용기면 충분한 것
김지영 지음 / 필름(Feelm)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행복은 노력을 통해 성취하는 것이 아니라, 연습을 통해 발견하고 단련을 통해 유지하는 것.

저자는 바로 지금, 여기서 행복할 것을 요구한다. 요즘 내가 읽는 책에서 많이 보이는 말은 ‘지금, 여기’다. 나도 매우 좋아하는 말들. 지금 여기서 불행하다면, 과연 그것을 딛고 맞이한 미래를 온전히 행복하다고 느낄 수 있을까? 나의 만족을 위한 기다림으로써의 고난이 아닌 맹목적인 고난과 인내라면, 이제 사양하고 싶다.

이 책은 작가가 동아일보에 연재하던 칼럼을 다듬고, 새 원고를 더해 만든 것이라 한다. 별것 아닌 일상일지라도 ‘그래도’ 발견하는 것, 내 식대로의 행복을 정의하는 것, 바로 지금 여기서의 행복을 유지하는 것으로 이야기를 구성하였다.

백문 백답에 대한 이야기가 친근하다. 내가 학생일 때엔, 각자의 홈피(홈페이지)가 있었고, 자기소개란에는 100문 혹은 50문에 대한 자문자답이 필수였다. 얼마 전 싸이월드가 다시 시작된다는 뉴스가 있었다. 어린 시절의 흑역사를 두고 부끄럽지만 반가워하는 사람들도 있었고, 원치 않는 개인 정보의 보존에 대해 불쾌함을 드러내는 사람도 있었다. 나도 후자에 속하는 입장이지만, 어쨌든 오랜만에 나에게 묻는 백문 백답은 신선하다. 정신없이 살다 보면 나조차도 나에 대해 모르게 되는 것이 인생인가 싶을 정도로 지나가는 시간이 아쉬운 요즘이므로.

작가의 ‘일상을 바로잡는 힘’은 다이어리 한쪽에 새겨 놓은 무기력을 극복하는 방법이라고 한다. 그동안 나는 일상에 에너지를 충전하는 일을 개발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겨왔는데, 일상을 바로잡아주는 힘도 못지않게 중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가끔 이른 아침에 일어나 창문을 열고 창밖을 내다보는 것, 주기적으로 집안을 깨끗하게 청소하는 것, 비 오는 아침 잠시 빗소리를 듣는 것도 나에게는 힐링이자 일상을 바로잡아주는 힘이다.

작가는 혼자 여행 갈 수 있는 사람이 되면서 자신의 세계가 확장되었다고 한다. 생각해 보면 어른은 별게 아니지만, 자신을 어른이라고 인정하기까지는 꽤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 나는 혼자 밥을 먹어도 아무렇지 않게 되면서 스스로를 성인이라고 인정하게 된 것 같다. 혼자 여행을 몇 번 다녀온 후 세상을 보는 눈 자체가 깊어진 것도 같고.

누구나 크고 강렬한 행복을 원한다. 언젠가 나도 로또에 당첨되리라는 암묵적인 희망을 품고 살아가는 것을 누가 욕할 수 있을까. 행복이야말로 다다익선일 테니까. 그러나 고기도 먹어본 사람이 그 맛을 안다고 믿는다. 작은 일에서 기쁨을 느낄 수 있는 사람이 큰 기쁨이 다가왔을 때 온전히 행복을 만끽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나는 삶에서 작은 기쁨을 충실히 느끼려 노력하는 편이다.

오늘도 작은 불편에 별생각을 다 하며 불만을 품었지만, 살아있음에 감사한 저녁이다. 행복해지려는 관성에 거스르고 싶지 않은 마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