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시작하는 자화상 - 당당하게 도전하는 희망 그리기 프로젝트 지금 시작하는 드로잉
오은정 지음 / 안그라픽스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이름과 한 줄의 글이 강하게 마음을 이끈 책.
“나는 누구인가?”라는 물음에 스스로 답하지 않으면 세상의 반응에만 의존하게 될 것이다. 라고 말한 칼 구스타프 융의 문장에 마음이 기울었다. 실은 미술을 곁들인 심리학 서적인가 해서 마음이 갔다. 요즘 융에 대해 공부하고 있기 때문이겠지만, 나 자신을 객관화하는 연습을 하고 있기 때문이기도 했다.

어쨌든 이 책에 대한 첫인상은 맞고, 틀렸다. 굉장히 매력적인 한 줄이었던 것만은 분명하다. 작가는 이 책의 초안을 십 년 전에 썼다고 한다. 원래는 드로잉에 관한 책을 쓰고자 했는데, 정작 내가 나 자신에 대해 잘 모르는데 다른 누군가에게 자신을 알아보라고 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들었다고 한다. 그래서 내 첫인상이 맞고도 틀렸다. 이 책은 스스로에 대한 철학적 자화상을 그려보는 책이 맞고 동시에 드로잉에 관한 책이다.

#백수에게 박수를
제목이 근사한 글이다. 자화상 수업 시간에 서로를 소개하는데, 작가는 자기소개에 대한 규칙을 정하면서 백수에게는 기립박수를 쳐주기로 한다. 백수는 앞으로의 인생을 고민하며 자신의 삶을 결정하고 경영하는, 주인이 되어가는 시기이기 때문이다. 제목이 마음에 들었는데, 작가의 마음도 담백하면서 따뜻하다. 참고로 나도 백수인 동안 글을 쓰기 시작했고, 지금은 전혀 다른 삶을 살고 있다. 당사자가 원하지 않는데 일으켜 세우고 박수를 치는 것은 지양해야겠지만, 백수인 삶에 그저 응원의 박수를 보내주는 것은 그 사람 자체에 대한 응원일 것이다.

#나는 원래 차가운 사람이다
재미있고 또 한편으로는 조심스러운 일화가 담겨 있다. 서로를 소개하는 시간에 ‘나는 차가운 사람이고, 사람들과 노닥거리는 건 딱 질색이니 좀 빼달라’고 당당하게 말하는 사람에 관한 이야기였다. 고양이도 싫고 길고양이들이 귀찮게 군다면서 하루는 그 녀석들에게 밥을 주고 있는 사진을 보여주고, 그다음엔 소파 위에서 쉬는 고양이들의 사진을 보여주던 사람. 결국 작가는 그의 본심을 알아채고 앞으로는 우리가 귀찮게 할 테니 각오하라고 엄포를 놓았고, 그 사람도 싫지 않은 내색이었다고.

누군가의 ‘말하지 못할 마음’을 알아차려 준다는 것은 얼마나 근사하고 따뜻한 일일까. 하지만 이것을 일반화하는 것은 조심스럽고, 늘 조심해야 하는 일이다. 말 안 해도 다 안다며 강요하는 사람만큼 불편하고,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도 없다. 누군가의 거절은 진심이 가득 담긴 거절인 경우도 있으니까.

이 책이 드로잉 서적인지 에세이인지 모르겠다. 드로잉 에세이라 하고 싶다. 꽤 근사한 글과, 드로잉에 대한 설명이 녹아 있다. 정말로 자화상을 그려보고 싶은 생각도 들게 하는 책. 나의 모습을 돌아보게 하는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