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름이 밀려온다 - 지금이 힘겨운 당신과 읽고 싶은 위로의 문장들
매기 스미스 지음, 안세라 옮김 / 좋은생각 / 2021년 6월
평점 :
품절


상실의 아픔을 겪었다고 세상을 흑백으로 바라보지 않기를.
눈을 떠 당신 주위에서 밝게 빛나는 색채들을 바라보라.

표지 글이 마음에 든다.
매기 스미스의 치유와 회복의 메시지를 담은 에세이. 출간 즉시 베스트셀러가 되었다고 한다.

힐링 시네마라는 개념에 대해 한동안 고민하던 적이 있었다. 내가 생각하는 힐링은 위로와 치유 혹은 격려라는 의미인데 전혀 인정할 수 없는 내용의 영화가 그해의 힐링 영화로 추천되었다는 글을 읽었기 때문이다.관련 자료도 찾아보고,영화평론가나 영화치료 전문가의 저서를 몇 권 보고 나서야 어렴풋이 알게 되었다.

힐링이라는 말의 범위는 광대하다.
아픔을 인지하고 그것을 치유하기까지의 전 과정과 그 안에 담긴 노력까지도 모두 힐링이다. 자신의 아픔을 정면으로 바라보고 그것을 이겨내겠다고 다짐하는 것, 고통스럽지만 지나간 일들을 기억해내고 털어내는 과정은 치유를 위한 필수 작업이다. 이 작업의 과정 또한 치유이자 힐링의 과정이다.

당신의 우주가 얼마나 광활한지,
얼마나 많은 별이 그 우주를 채우고 있는지를 기억하라.
당신의 우주는 계속 팽창하고 있다.
그러니 그대, 그렇게 빛나라. (p. 112)


작가는 19년간의 결혼 생활에 마침표를 찍는다. 결혼 생활은 끝났지만, 그의 인생이 끝난 것은 아니라는 작가의 말에서 단단한 내면이 느껴진다. 들려주고 싶은 이야기들이 있었다는 작가의 말이 묘하게 나 자신을 돌아보게 만든다. 아직까지는 내가 듣고 싶었던 이야기를 쓰는 사람인데, 시간이 흐르면 언젠가 나도 들려주고 싶은 이야기도 쓰게 되지 않을까.

누군가를 향한 분노를 가라앉히는 일은
그들을 용서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을 보호하는 것이다.
오래 가까이 두면 당신에게 독이 될 수도 있는 것을
그만 내려놓은 일을 의미한다. (p. 218)

나의 2020년을 두 글자로 요약하자면 용서일 것이다. 그리고 이것에 대한 고민은 올해 한 과제를 마치면서 끝내게 되었다. 정답은 없지만, 용서의 주체는 어떤 상황에서도 자기 자신이어야 한다. 누군가를 향한 분노는 스스로를 위해 가라앉힐 수 있어야 한다. 그것은 선도 아니고 용서도 아니며 단지 나를 위한 일이다.


모든 일의 기원에 대해 생각해 보라.
지금 당신이 겪고 있는 일이 무엇이든
그것은 당신의 원동력이 될 것이다. (p. 239)


어디선가
에세이를 좋아하지만, 요즘 명령조로 자신의 지혜를 강요하는 느낌의 글이 많아서 불편하다는 글을 읽었다. 상당히 공감하면서도 또 조심스러워진다. 나는 어떤 글을 쓰는 사람일까. 내 글이 누군가를 불편하게 만들지는 않을까.


이 또한 정답은 없다.
에세이의 장점은 누군가의 정돈된 생각을 읽을 수 있다는 것이고, 동의할 수 없는 부분은 이 글을 쓴 작가의 생각이 이러한가 보다 하고 인정하고 지나갈 수 있다는 점이다. 이 책도 그렇다. 여백의 미와 초록의 푸르름이 읽는 내내 평온한 숲길을 걷는 듯한 느낌을 주지만, 작가가 살면서 경험한 지혜들을 적은 책이기에 누군가에게는 울림을 줄 것이고 누군가에게는 다르게 읽힐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공감되는 부분이 많았다.
작가 각자의 매력이 있겠지만, 나보다 나이가 많은 분들의 책에서 유독 깨달음이 많은 이유는 아직 나는 겪지 못한 것을 겪은 선배만이 해 줄 수 있는 말이라는 것을 이제는 알기 때문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